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월급보다 빚이 많아요”…청년 416만명의 절규

평균 연봉 3000만원 vs 평균 대출 3700만원…‘마이너스 인생’ 시작

연합뉴스

청년들의 평균 연소득이 3000만원 수준에 그친 반면, 평균 대출잔액은 이를 웃도는 3700만원으로 나타났다.
매달 신용카드·체크카드로 사용하는 금액은 147만원에 달해, 벌이보다 소비와 부채가 더 많은 불균형이 뚜렷해지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이 31일 발표한 '2024년 청년금융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19~34세 청년층 927만40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평균 연소득은 3092만원이었다.

특히 '2400만원 초과~3600만원 이하' 구간이 41.7%로 가장 많았고, '1000만원 초과~2400만원 이하'가 34.7%로 뒤를 이었다.
소득 구간만 놓고 봐도 절반 이상의 청년이 연 3000만원을 넘기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청년들의 소비 패턴도 눈에 띈다.
월평균 카드 사용액은 147만원이었다.
전체의 절반(50.4%)이 ‘25만원 미만’을 사용한다고 답했지만, 반대로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을 쓰는 청년도 16.2%에 달했다.
‘50만원~100만원 미만’도 11.2%를 차지했다.

대출 문제도 심각하다.
청년층의 44.8%, 약 416만명이 대출 경험이 있으며, 이들의 평균 대출잔액은 3700만원이었다.
사실상 연 소득보다 많은 부채를 짊어진 셈이다.


신용점수는 평균 806.3점으로, 57.8%가 '700~900점 미만'에 분포했다.
'900점 이상'은 32.1%, '500~700점 미만'은 6.7%로 집계됐다.

저축·투자 비율은 비교적 높았다.
청년층의 76.5%가 저축이나 투자를 하고 있으며, 월평균 저축·투자 금액은 94만1000원이다.
상품별로는 '적금'(80.2%)이 가장 많았고, '주택청약종합저축'(71.7%), '예금'(51.4%) 순이었다.

이들이 저축·투자를 하는 주된 이유로는 ‘주거 구입’(46.5%)이 가장 많았다.
이어 '목돈 마련'(15.9%)과 '생계비 마련'(13.1%)이 뒤를 이었다.
안정된 주거와 미래를 준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다.

다만 스스로 평가한 금융 이해도는 낮았다.
본인의 금융 지식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2.8점, 재무관리 수준은 2.9점으로 나타났다.
경제 활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금융 지식과 실천력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셈이다.

청년들이 가장 많이 겪고 있는 재무적 어려움은 '생활비 상승에 따른 지출 증가'(49.9%)였다.
이어 '전월세 보증금 마련'(7.5%), '주택 및 전세자금 대출 부담'(6.5%) 순이었다.

재무 상담과 금융정보는 주로 '가족'(48.8%), '온라인 커뮤니티'(44.4%), '지인'(37.9%) 등을 통해 얻고 있었다.
전문가보다 가까운 사람에게 먼저 의지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뉴시스

한편,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6만7000명을 대상으로 한 마이데이터 분석 결과도 함께 발표됐다.
이들의 평균 연소득은 3453만원으로 전체 청년층보다 361만원(약 11.7%) 높았다.
가입 요건에 일정 소득 수준이 포함돼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월평균 카드 사용액은 201만원으로 전체 평균보다 54만원 높았지만, 평균 대출잔액은 2800만원으로 오히려 900만원 적었다.
일정한 소득을 기반으로 계획적인 금융생활을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를 줄이기 위해 오는 7월부터 '부분인출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재연 서금원 원장은 "청년들이 적금을 유지하면서도 긴급 자금을 안전하게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