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위성통신에 막대한 투자금을 쏟아부으면서 일론 머스크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애플이 자금을 지원하는 위성통신 서비스 확대에 제동을 걸기 위해 미국 당국을 압박했다고 전해진다.
애플이 투자한 미국의 위성통신 사업자 '글로벌스타'가 신규 위성망이 특정 주파수 범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 달라고 신청한 것과 관련해 최근 스페이스X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이를 기각해달라고 요청했다는 것이다.
앞서 애플은 지난해 글로벌스타에 10억달러(1조4743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애플은 아이폰이 터지지 않는 외딴 지역에서도 아이폰 이용자가 긴급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2022년부터 글로벌스타와 제휴해 왔다.

양측의 갈등은 주파수 범위를 놓고 경쟁을 벌이면서 시작됐다.
저궤도 위성 통신의 강자인 스페이스X는 그동안 스타링크 서비스를 통해 휴대전화를 연결하는 위성 550개 이상을 쏘아 올린 바 있다.
특히 최근 스페이스X와 협력사인 티모바일이 아이폰에 스타링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애플 측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심화했다고 알려졌다.
올여름 출시될 스페이스X와 티모바일의 위성 휴대전화 서비스를 신형 아이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합의에 도달하긴 했지만 그 과정에서 날카로운 논의가 벌어졌다는 것이다.
스페이스X는 이와 관련한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애플과 머스크의 충돌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애플은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도 무인 자율주행차 개발 인재를 두고 각축을 벌인 바 있다.
또 머스크 소유의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놓고도 논쟁을 벌였고, 애플 앱스토어 통제 방식에 불만을 가진 머스크가 직접 스마트폰을 만드는 안을 검토하기도 했다고 전해졌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