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합원과 집행부의 분쟁으로 인해 공사 중단과 공사비 증액 갈등을 겪어왔던 서울 은평구 대조 1구역 재개발정비사업 문제가 1년여 만에 해결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1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 시·구·조합·시공자가 참여하는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한 결과 조합과 시공자의 합의안이 마련됐다고 1일 밝혔다.
2566억원 증액으로 공사비 합의를 이뤘고 증액 관련 의결도 마쳤다.
대조1구역 재개발사업은 시공자가 설계변경·특화설계 등 1776억원, 공사 중단·공기연장 등 손실 비용과 물가 변동 등으로 1995억원 등 총 3771억원을 증액 요구하며 갈등이 빚어졌다.
시에 따르면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공사비 증액과 관련해 조합과 시공자의 제출자료를 검토 후 조정·중재 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조합과 시공자 간의 추가적인 협의를 진행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시, 자치구, 조합, 시공자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를 진행해왔다.
2012년부터 진행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정비 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고 있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 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을 파견하는 제도다.
지난해 총 15개 정비지역에 파견, 지난해 8월 미아3·안암2구역과 12월 역촌 1구역에 이어 올해 1월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과 지난달 대조 1구역까지 총 8개 구역에 대한 합의안을 끌어냈다.
현재는 천호1구역, 노량진6구역 등 총 6곳에선 조정 및 중재 활동이 진행 중이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조합 내부 갈등, 공사비 갈등 등의 여러 갈등 상황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시가 갈등관리에 적극 나서 사전 예방하고 해결해 신속한 주택공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