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중소기업 절반 이상 “C커머스 활용 중이거나 이용 의사 있어"

국내 중소기업 2곳 중 1곳은 중국 이커머스(C커머스)를 현재 활용하고 있거나 앞으로 이용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17∼21일 제조·유통업 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한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 결과 ‘C커머스를 활용 중인 기업’은 29.7%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전경. 뉴스1
‘활용 경험은 없으나 추후 활용 의사를 밝힌 기업’도 21.0%로 조사됐다.
‘활용 경험과 계획도 없다’는 응답은 49.3%로 나타났다.

C커머스 활용 방식으로는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가 65.2%로 가장 많았다.
이후 ‘제품 구매 후 국내 재판매’(11.2%), ‘원자재 또는 부품 조달’(6.7%) 등의 순이었다.

C커머스의 국내 진출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 비중은 24.7%로 부정적(15.3%)이라는 응답보다 높았다.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60.0%였다.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는 ‘국내외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가 47.3%로 가장 많았고 ‘기존 유통망 대비 입점 수수료 절감’(16.2%), ‘비용 절감’(14.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로 소비자 이탈’(45.7%), '국내 기업의 브랜드 가치 하락'(19.6%), ‘무관세·무인증 등 역차별 피해’(17.4%), ‘마케팅 비용 증가’(8.7%) 등의 순으로 꼽혔다.

C커머스의 국내 진출 전망에 대해서도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8.3%로 부정적(26.0%)보다 많았다.
‘변화 없음’은 45.7%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63.7%는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특별한 대응 전략이 없다고 답했다.
나머지 기업들의 대응 전략으로는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활용 확대’(10.3%)와 ‘차별화된 제품 개발’(9.0%), ‘가격인하’(8.7%)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들은 국내 이커머스가 중국 이커머스에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국내 이커머스에 입점한 기업을 지원해주고, 중국 이커머스 입점 업체의 인증·검사, 해외 직구 제품의 통관·품질 검사, 지식재산권 침해 제재, 물류 경쟁력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