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코스피는 미국 뉴욕증시의 급락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등의 영향으로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3.98%) 떨어진 4만545.93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4.84%) 급락한 5396.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5.97%) 급락한 1만6550.61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 지수와 S&P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일간 낙폭을 기록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대 낙폭인 셈이다.
뉴욕증시 급락 이유는 예상보다 강도가 높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대해 25%의 관세를 매기는 등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
기존에 대부분 시장 참여자들은 상호관세 혹은 보편관세 둘 중 하나만 부과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 관세의 성격은 그 둘이 혼합된 성격의 관세이자 관세 근거도 불충분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현재 수준의 상호관세가 사실상의 상한선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낮아질 확률이 크다는 의견도 있다.
이는 주식시장이 또 다른 관세 악재로 연쇄 급락을 겪을 가능성이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전날 국내 증시는 트럼프 상호관세 쇼크, 미국 나스닥 선물 폭락, 외국인의 1조5000억원대 대규모 순매도 등으로 장 초반 급락세를 연출했으나 이후 낙폭 과대 인식 속 방산, 바이오 업종 주가 반등에 힘입어 낙폭을 축소한 채로 마감했다.
이날 국내 증시는 뉴욕증시 폭락 여파로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예정돼 있는데, 선고 결과에 따라 트럼프와의 협상, 추경 편성 등과 같은 주요 일정에 변화가 생길 수 있어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여러모로 주가 하방 압력을 받기 쉬운 구간이기는 해도 여타 증시와 달리 국내 증시는 추가적인 지수 레벨 다운 리스크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전날 기준 코스피의 후행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4배로 지난해 연말 2400선이 깨졌던 밸류에이션 레벨로 다운되는 등 역사적 밴드 하단 부근에 도달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번 상호관세로 수출과 이익 측면에서 일정부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향후 국가 간 협상을 통해 관세 수위를 낮춰갈 것이라는 전제하에서는 수출과 이익의 바닥 다지기 국면은 크게 훼손되지 않을 것”이라며 “따라서 일시적으로 PBR 0.8배 혹은 그 이하로 내려갈 수는 있겠지만, 해당 레벨에서 고착화되기 보다는 수시로 반등을 주면서 하방 경직성을 확보해갈 것”으로 전망했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