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로부터 32%의 고율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대만이 주가 폭락 등 '블랙 먼데이' 사태를 우려하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6일 연합보와 중시신문망 등 대만 매체들에 따르면,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은 전날 중앙은행장과 재무부장(재무장관) 등과 함께 고위급 회의를 열고 미국발 관세 충격에 대한 대응 방안을 보고받았다.
이들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글로벌 증시에 악영향이 있었다며 다음날인 7일 개장하는 대만 증시도 흔들 수 있다고 봤다.
줘룽타이 원장은 "마음의 준비를 하고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만 증시는 청명절 연휴로 지난 3∼4일 휴장한 상태다.

연합보는 이 회의에서 대만 국가금융안정기금의 개입이 공식 지시되진 않았지만, 증시 폭락 우려가 제기된 만큼 개입 요건은 충족된 상태라고 전했다.
5000억대만달러(약 22조원) 규모의 안정기금과 관련해 언제든 임시 회의를 열 수 있는 준비가 돼 있으며, 이르면 7일 회의가 열릴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줘룽타이 원장은 앞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도 미국 상호관세로 인해 전자·철강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만 기업들에 880억대만달러(약 3조8800억원)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한편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지난 5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대표들을 관저로 초청해 좌담회를 열었다고 대만 총통부는 전했다.
이 자리에는 아이폰 제조업체 폭스콘의 류양웨이 회장과 노트북업체 컴팔의 쉬성슝 회장, 전자업체 위스트론의 린젠쉰 최고경영자(CEO), 리스친 대만전자협회(TEEMA) 이사장, 전자업체 페가트론의 퉁쯔셴 회장, 에이서 창립자 스전룽, 허우융칭 TSMC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연합보는 소식통을 인용해 "정부가 미국과 협상할 카드들은 있지만, 이를 서둘러 공개할 필요는 없다는 데 업계 대표들이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행정원은 미국에 경제무역 담당 관리를 파견했으며, 관세 인하와 대미 투자 확대, 비관세 장벽 완화 등 대응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대만(32%) 등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고하고 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