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지 약 2주가 지난 가운데 이들 지역의 아파트 거래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3월 24일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서울시 전체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629건에 그쳤다.
강남 3구와 용산구를 포함한 4개 구에서는 단 9건만 신고됐다.
특히 서초구와 용산구는 2주 동안 거래 신고가 한 건도 없었다.
강남구와 송파구도 거래 건수가 미미했다.
강남구의 8건 중 대부분은 이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정비사업 단지였고, 송파구는 개인 간 직거래로 팔린 잠실 우성아파트 단 1건만 신고됐다.
다만 실거래 신고 기간은 30일이기 때문에 아직 거래 건수가 늘어날 여지는 있다.
직거래 비중은 지난해 하반기 집값 하락기 동안 급증했으나, 올해 들어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다시 낮아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전후로 급매물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일부에서는 증여성 저가 양도가 일시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토지거래허가구역과 관련, 재개발 입주권과 다주택자 매도 기준 등에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 통일된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