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콘캔, 이탈리아 밀라노·베로나, 영국 버밍엄 등 5개국 선정
![]() |
국토교통부는 'K-City 네트워크 2025 해외실증형 사업' 공모 결과 5개국, 6개 도시를 최종 선정했다. /더팩트 DB |
[더팩트|이중삼 기자] 국토교통부는 'K-City 네트워크 2025 해외실증형 사업' 공모 결과 5개국, 6개 도시를 최종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정부는 이달부터 총 23억원 규모의 현지 실증사업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K-City 네트워크는 스마트시티 분야의 혁신기술을 해외 도시 여건에 맞춰 실증하는 사업이다.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정부 간 협력 강화를 동시에 도모한다.
태국 콘캔에서는 도심에 설치된 CCTV의 실시간 영상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분석해 이상상황을 실시간 탐지하고 알려주는 솔루션을 실증한다. 이를 통해 재난, 범죄 등 이상 상황에서 경찰의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는 스마트 파킹 모바일 앱을 활용해 신속하게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AI 기반 스마트 주차장 시스템을 실증한다. 교통 체증 해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는 급증하는 도시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심 곳곳에 지능형 사물인터넷(AloT)* 적재량 감지 센서와 압축기능이 있는 쓰레기통을 설치한다. 또 통합모니터링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스마트 폐기물 관리시스템을 실증해 이를 유럽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예정이다.
이 외에도 영국 버밍엄에서는 교통약자의 무장애 보행을 지원하는 AR 기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탈리아 베로나에서는 교통흐름 개선을 위한 AI 기반 스마트 교통 솔루션을, 페루 리마에서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 솔루션을 실증한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한국형 스마트 기술의 우수성을 해외 현장에서 직접 입증하고, 수출과 연계된 지속가능한 도시협력 모델을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영중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세계 각국 도시들이 교통, 환경, 안전 등 복합적인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상황"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해외도시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