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외 생산 확대와 인수합병 등 유증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설명했지만 시장의 우려가 가시지 않자 감액에 나선 것이다.
부족분은 한화 계열사가 충당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일 서울 중구 한화빌딩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이같이 밝혔다.
안병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부문 총괄사장은 "국내 증시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유증을 하면서도 주주들께 충분한 설명을 드리지 못한 것은 굉장히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며 "앞으로는 정도·투명경영에 더해 주주가치 제고를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생각하고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사회를 열고 유증 규모 축소 계획을 결의했다.
기존 계획보다 1조3000억원 감액했다.
발행 주식 수도 595만500주에서 426만7200주로 줄였고, 예정 발행가도 주당 60만5000원에서 53만9000원으로 조정했다.
트럼프발 관세 쇼크에 유증 이슈까지 더해져 최근 회사 주가가 급락한 것을 반영한 것이다.
줄어든 1조3000억원은 한화에너지·한화임팩트파트너스·한화에너지싱가포르 등 3개 계열사가 참여하는 제3자 배정 유증을 통해 확보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대주주인 한화에너지는 발행가 할인 없이 유증에 참여하기로 했다.
한화에너지는 장남인 김동관 한화 부회장이 지분 50%, 차남인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과 삼남인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각각 25%를 들고 있다.
이번 결정은 앞서 발표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증이 경영권 승계 작업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의구심을 불식하려는 행보다.
지난 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1조3000억원을 들여 한화에너지에서 한화오션 지분을 사들였는데 김 회장이 세 아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제기된 바 있다.
아주경제=강일용·윤선훈 기자 chakrell@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