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분기 RBSI 75… 4분기 연속 ↓
기업 절반 “소비회복 2026년 이후”
韓 민간소비 증가율도 내리막길
GDP 대비 비중도 50% 하회 상황
노인 인구 늘면서 소비 성향 감소
경제력 취약 1인 가구 증가 겹쳐
“소비 진작책·기업 대응 노력 절실”
봄기운이 완연하지만 내수는 여전히 꽁꽁 얼어붙은 한겨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장기화한 경기 침체와 고령화,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경제성장 동력이 약해지고 있다.
민간 소비는 국가 경제성장을 이끄는 핵심 동력인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에서 민간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선진국 평균보다 10%포인트나 낮을 정도로 심각하다.
![]() |
지난 6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
8일 대한상공회의소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온라인쇼핑 등 500개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올해 2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를 조사한 결과, 전망치가 7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1분기 77보다 2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는 지난해 2분기(85) 이후 4분기 연속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 |
당분간 소비 심리 회복도 기대하기 힘들다.
응답 기업의 절반(49.8%)은 2026년 이후에나 소비시장이 살아날 것으로 내다봤다.
2027년, 2028년 이후를 전망한 기업도 각각 11.2%, 16.0%에 달했다.
국민은 점점 더 허리띠를 졸라매는 형국이다.
한국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우리나라 민간 소비의 구조적 제약 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민간소비 증가율은 지난해 1.1%에 그치는 등 매년 내리막길이다.
민간소비는 2011∼2019년 평균 2.52% 증가했으나, 최근 7분기는 평균 0.99% 느는 데 그쳤다.
![]() |
2001∼2024년 실질 GDP의 연평균 증가율은 3.46%이나 실질 민간소비의 연평균 증가율은 2.57%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민간소비는 한 나라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요소”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명목 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은 60% 수준이지만 한국은 50%를 하회한다”고 설명했다.
명목 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은 2001년 55.5%였으나 2015년 49.8%로 처음 50% 아래로 내려온 이래 대부분 50%를 밑돌고 있다.
지난해에는 48.7%까지 떨어졌다.
미국은 이 비율이 67∼68%에 달한다.
민간에서 쓸 돈이 없는 이유 중 하나로 저출산·고령화가 꼽힌다.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니 경제성장률·잠재성장률 모두 하락 추세다.
노후에 대비해야 하니 소비성향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
2006∼2024년 처분가능소득의 연평균 증가율은 1.14%였지만 소비지출은 연평균 0.60% 늘었다.
미래가 불안하고 긴 노후가 예상되니 벌어들인 돈을 쓰지 못하는 셈이다.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평균소비성향이 더 크게 하락해, 고령 인구가 늘어날수록 민간 소비는 줄어들 전망이다.
60세 이상의 평균소비성향은 지난해 66.4%로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40대 가구의 과도한 교육비 지출, 막대한 가계부채, 경제력이 취약한 1인 가구의 증가, 조세·사회보험 지출 증가도 민간 소비를 위축시키는 요인이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올해 유통기업이 연이어 무너지는 주된 이유로 내수 부진을 든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소비시장 침체가 장기화하지 않도록 대규모 할인행사 같은 단기 소비 진작책과 함께 장기적인 경기 침체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불황에 강한 상품 개발 등 기업의 대응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