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관세 '폭탄 돌리기'…美마이크론 메모리모듈·SSD 가격인상

반도체업계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폭탄 돌리기'가 시작됐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만큼 늘어난 관세 부담을 떠안기보다 고객사들에 전가하는 형태가 일반적인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 로이터통신은 8일(현지시간)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최근 미국 고객사들에 9일부터 일부 제품에 추가 요금을 부과할 계획이라고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대상은 메모리 모듈과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이다.


마이크론의 경우 해외 생산 시설이 중국,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에 자리 잡고 있어 미국 관세 영향을 피하기 힘들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전 제품에 9일 0시를 기점으로 10~49%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이다.


반도체의 경우 지난 2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우선 제외됐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른 시일 내 부과를 예고한 만큼 함께 타격을 받는 분위기다.
이날 백악관은 앞으로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대상인 반도체·목재·구리·의약품 등은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 부과를 "아주 곧" 시행할 예정이라며 업계 기대감을 꺾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 역시 디램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등에서 3~5%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다.
샌디스크는 일찍이 지난 1일 10%의 가격 인상 계획을 공표한 바 있다.
마이크론 역시 일찍이 고객사들에 비슷한 가격 인상 계획을 예고한 바 있다.


시장에선 반도체칩 공급자들이 가격 주도권을 갖고 있어 고객사들이 관세 영향을 떠안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윌리엄 스타인 트루이스트증권 시니어 애널리스트는 지난주 투자자 노트에서 "엔비디아나 AI 반도체 주식들은 관세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AI 고객사들이 비용에 상관하지 않고 AI 모델 개발 경쟁에 몰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