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3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4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2월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4조2000억원 급증한 것과 비교하면 지난달 증가폭은 크게 줄어든 셈이다.
은행권과 2금융이 정책성대출을 크게 축소하면서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감소한 영향이다.
다만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이후 영향을 확인하려면 4월 가계대출 추이가 중요하다.
대출 상담부터 승인까지 2~3개월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9일 오전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2025년 3월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을 발표했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4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3조4000억원→+2조2000억원)과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1조5000억원→+1조1000억원) 모두 전월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기타대출은 3000억원 줄어들어 전월(-7000억원)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
이는 신용대출이 감소세로 전환(+1000억원→ -1조2000억원)된 점 등에 기인한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1조4000억원으로 전월(+3조3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9000억원→-1조원)은 감소세로 전환됐다.
은행권 가계대출의 세부 증감 동향을 살펴보면 정책성대출은 전월 대비 1조5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월(+2조8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한 규모다.
반면, 은행 자체 주담대는 7000억원 늘어나 전월(+6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소폭 확대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전월(-2000억원) 대비 감소폭이 확대(-9000억원)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의 업권별 증감 동향을 보면 상호금융권은 3000억원 증가하며 전월(+8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고, 저축은행은 2000억원 감소하며 전월(-300억원)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여전사는 9000억원 줄어들며 감소세로 전환됐고, 보험(-1000억원)은 전월과 유사한 감소폭을 유지했다.

또 금융위는 규제 관련 준비상황도 점검했다.
5월부터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대출 보증비율이 100%에서 90%로 강화되고,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된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토허제로 인한) 활발하게 이루어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된다"며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서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도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권 처장은" 2분기에도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대출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금융권이 더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월별·분기별 경영목표에 맞춰 가계대출을 관리해야 한다"며 "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상품 확대, 모든 가계대출에 대한 소득자료 관리 강화, 부동산 연계 대출 인프라 구축 등 올해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 제시한 주요 과제도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