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기본관세는 계속 적용
美, 맞춤형 대응 방침 강조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부터 시행된 상호관세에 대해 90일간 유예 조치를 단행하고, 이 기간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하기로 했다. /뉴시스 |
[더팩트ㅣ조소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부터 시행된 상호관세에 대해 90일간 유예 조치를 단행하고, 이 기간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하기로 했다. 다만 중국에 대해서는 예외를 두고, 기존 관세에 추가로 부과해 총 125%의 고율 관세를 즉시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에 "중국이 세계시장에 보여준 존경심 부족에 근거해,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발 펜타닐 유입을 이유로 중국에 두 차례에 걸쳐 10%씩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상호관세 차원에서 34%를 추가하며 추가 관세를 54%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이후 중국의 보복 예고에 50%를 더 얹어 총 104%의 관세가 이날부터 적용됐다.
이번에 중국이 추가 대응에 나서자,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관세를 인상해 최종 125%까지 올리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까운 미래 언젠가는 중국이 미국과 다른 국가들을 착취하는 일이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도, 용납될 수도 없다는 것을 깨닫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는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반대로, 75개 이상 국가는 무역과 무역장벽, 관세, 환율조작, 비금전적 관세에 대한 해결책을 협상하기 위해 상무부, 재무부, 무역대표부 등에 연락했고, 이 국가들은 나의 강력한 제안에 따라 미국에 어떤 방식으로도 보복하지 않았다는 점에 근거해, 90일간 유예하고 이 기간에는 10%로 상호관세를 낮춰 즉시 발효되도록 승인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부터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했으며, 이날부터는 57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그러나 이날 발효된 상호관세는 당분간 시행을 유예하고, 앞서 발효된 10%의 관세만 일단 적용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한국 역시 당초 이날부터 25%의 상호관세가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90일간은 10% 관세만 부담하게 됐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관세 유예 결정에 여러 국가의 요청이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에 따르면 이미 75개국 이상이 미국 측에 접촉해 왔으며, 향후에도 더 많은 국가가 추가로 연락해 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각국의 요청에 대한 대응은 맞춤형 방식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며,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직접 관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향후 협상과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미국이 알래스카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대해 언급하며 한국, 일본, 대만 등이 자금 지원과 구매 계약 체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같은 협상이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모든 사안은 협상 테이블에서 조율 가능하다는 입장을 덧붙였다.
sohyu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