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로봇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을 아우르는 ‘K-휴머노이드 연합’이 공식 출범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의 휴머노이드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을 개최했다.
출범식엔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유홍림 서울대 총장 등 산·학·연 관계자 3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연합에는 국내 주요 로봇 제조사와 부품 기업, AI 연구진, 수요 기업 등 약 40여 개 단체가 참여한다.
정부는 이를 중심으로 오는 2030년까지 R&D, 펀드 조성, M&A 등 민관 합산 1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산업부 측은 "생성형 AI에 이은 물리적 인공지능(Physical AI)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차세대 기술 격전지로 휴머노이드를 지목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출범 배경을 설했다.
실제로 테슬라와 피규어AI, 아마존, MS, 엔비디아 등 미국 기업뿐 아니라 유니트리, 유비테크 등 중국 기업들까지 대규모 투자와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반면, 한국은 기술력은 인정받고 있으나, 투자 규모와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K-휴머노이드 연합은 ▲로봇 공용 AI 모델 개발 ▲고사양 휴머노이드 핵심기술 개발 ▲AI 반도체·모빌리티용 배터리 등 부품 개발 ▲스타트업 및 인재 양성 ▲공급-수요기업 간 협력 강화 등 5대 미션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한다.
특히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AI 개발에는 서울대 AI연구원을 중심으로 KAIST, 고려대, 연세대 등 주요 대학 연구진이 참여한다.
연합은 2028년까지 제조사와 부품사가 제공한 데이터 기반으로 공용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완성할 계획이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60kg 미만의 경량화, 50개 이상 관절 자유도, 20kg 이상의 페이로드, 2.5m/s의 이동속도를 갖춘 고사양 휴머노이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핵심 부품인 힘·토크센서, 촉각센서, 액추에이터 등도 부품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자체 개발할 방침이다.
정부는 2025년 로봇 관련 예산 2000억 원을 투입하며, 실증 환경 구축과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고성능 저전력 AI 반도체와 고밀도 배터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리벨리온, 딥엑스(반도체), SK온·LG에너지솔루션·삼성SDI(배터리) 등 관련 전문 기업들이 연합에 참여했다.
산업부는 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대규모 R&D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스타트업 발굴 및 인재 육성도 핵심 과제다.
산업부는 서울대, KAIST 등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학부생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유망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휴머노이드 펀드도 연내 출범할 계획이다.
또 삼성디스플레이, LG전자, 삼성중공업, CJ대한통운, 포스코홀딩스 등 실제 제조 현장에서 휴머노이드를 도입할 수요 기업들과의 협업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기술 세미나, 쇼케이스, 경진대회 등을 정기 개최할 예정이며,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를 통해 수요·공급 기업 간 공동 기술개발 과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안 장관은 "휴머노이드는 향후 10년간 25배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 산업이자, 제조업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산·학·연이 어렵게 뜻을 모은 만큼 정부도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