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셋플러스자산운용이 10일 설립자인 강방천 전 회장 명의로 고객에게 특별 서신을 보냈다.
최근의 시장 진단과 투자 전략을 담았다.
최근 시장 급등락으로 염려가 클 직접 판매 펀드 고객은 물론 일반 투자자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전했다.
강 전 회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시작으로 2011년 유럽 재정 위기, 2020년과 2022년 코로나19 사태 등 지난 17년 동안 네차례 특별 서신을 보냈다.
시장의 극심한 공포가 있을 때마다 고객을 안심시키고 펀드를 지켜달라고 설득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을 대하는 투자자의 자세로부터 이야기를 풀어갔다.
강 전 회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장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라며 ""시장은 많이 오르면 떨어지고 많이 떨어지면 오른다고 하는 데 사람들은 늘 그렇지 않다"고 했다.
이어 "오히려 시장의 이야기와는 정반대로 행동한다"며 "투자자들은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 흥분하면 냉정하고, 두려우면 다가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시장 진단과 관련해 "요즘 시장을 관통하는 화두는 당연히 관세 전쟁일 텐데, 마치 허세 섞인 한 판의 큰 포커 게임을 보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며 "머지않아 그 판이 끝나고 시들해지면 새로운 화두로 관심이 옮겨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 화두로 금리 인하를 꼽았다.
앞으로 전개할 금리 인하는 매우 구조적이고 오래갈 것으로 바라봤다.
강 전 회장은 "미국의 관세 정책은 수많은 기업에 미국 또는 관세가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에 비자발적 과잉투자를 촉발할 것"이라며 "각 산업에서 총공급 곡선을 늘리고 전방위적인 물가 인하 유발과 함께 금리 인하 여력을 더 크게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관세전쟁은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며 "높은 관세 극복을 위해 이뤄지는 기업의 비자발적 과잉투자는 각 산업에서의 초과공급 유발 가능성과 함께 이로 인해 초래될 물가하락 압력은 분명 구조적인 금리인하 여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전 회장은 또 "인공지능(AI) 혁신이 초래할 무한대의 지적 서비스와 제품공급을 주목해야 한다"며 "생성형AI는 무한대의 지적 서비스를 그리고 피지컬AI로 무장한 자율주행 그리고 옵티머스 같은 로봇은 무한대의 노동력 제공과 값싼 제품을 양산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조만간 마주할 AI시대에 제품과 서비스의 공급은 무한대로 늘어나는 데 물가는 오르지 않는 현상을 목격할 것"이라며 "구조적인 금리 인하를 유도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회장은 또한 "AI가 가져올 파괴적 혁신은 우리가 너무나 당연시해 왔던 경제의 기본질서조차 무너뜨리게 될 것"이라며 "지난 100여년간 현대경제학의 핵심 정의로 자리 잡고 있는 경제의 중요한 작동 원리는 희소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래 세상은 희소하다고 생각했던 자원이 무한대로 공급되는 상황과 마주할 것"이며 "인플레이션 성장 모델에 익숙했던 투자자에게는 디플레이션 성장 모델에서 가치를 찾아야 하는 큰 숙제를 안겨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디플레이션 성장 모델은 정부와 기업, 개인 등 모든 경제주체에는 낯설고 두려운 투자환경"이며 "어떤 이에게는 새로운 투자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플레이션 성장 모델에서 가치를 찾아갈 해법의 단초로서 강 전 회장은 "재화와 서비스가 무한대로 넘쳐날 미래 세상에서 희소성의 가치가 유지될 자원들은 무엇일까를 묻고 답해야 한다"며 "아마도 시간의 가치를 거스르기 어려운 명품 브랜드와 희귀한 자연자원, 발행한도가 제한된 비트코인과 같은 투자자산 등이 주목받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디플레이션 성장 모델에 대해 "아주 오랜 기간 투자 세계를 지배할 화두로 자리매김할 것"이며 "물가가 떨어지고 디플레이션이 일반화되는 구조에 우리는 익숙해져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바뀐 투자환경에 대응해 에셋플러스는 탐험가 정신으로 가치를 찾아내며, 그것을 담아낼 펀드와 ETF를 선보일 것이라고 약속했다.
강 전 회장은 서신을 마무리하며 "하락의 끝은 멀지 않았다고 믿는다"며 "공포에 흔들리지 않고 인내로 위기를 이겨낸다면 축제의 주인공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박형수 기자 parkh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