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한일 교역 축소에 ‘엔화’ 결제 비중 최저…中 위안화는 6년째 ↑

한국은행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

일본과 교역이 줄면서 작년 수출·입 중 엔화 결제 비중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꾸준히 늘면서 위안화 결제 비중도 6년 연속 상승세를 탔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확정)’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교역의 80%는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로 이뤄진 가운데 전년 대비 엔화 결제 비중은 하락하고, 수입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엔화. AP연합뉴스
수출 중에선 미 달러화 결제 비중이 84.5%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확대됐다.
교역량의 9할 이상이 미 달러화로 이뤄지는 반도체, 컴퓨터주변기기, 선박을 중심으로 달러화 수출이 10% 증가한 영향이다.

그 영향으로 다른 통화 결제 비중은 모두 1% 내로 하락하며 유로(6%), 원(2.7%), 엔(2%), 위안(1.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엔화 수출 비중이 2%까지 떨어진 것은 1992년 통계 편제 이래 처음이다.
대(對)일본 수출은 2011년(396억8000만달러)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로 하락세를 타다 지난해 296억1000만달러까지 축소됐다.
작년만 보면 기계류·정밀기기(-17.8%), 철강제품(-6%)을 중심으로 엔화결제 수출은 전년 대비 -5.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수입에서도 미 달러화 비중이 80.3%로 압도적이었지만 2022년 82.8%에서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엔화는 수입 비중도 전년 대비 0.1% 줄어 역대 최저치인 3.7%를 기록했다.
실제로 대일본 수입 추이를 보면 2011년 683억2000만달러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지난해 275억9000만달러까지 절반 이상 줄었다.


반면 수입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6년 연속 상승하며 전년 대비 0.7% 늘어난 3.1%로 나타나 곧 엔화를 추월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위안화로 이뤄지는 반도체 수입이 전년 대비 20배 폭증하면서 전체 위안화 결제 수입은 1년 새 27.9% 늘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이어진 대중국 교역 상승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대중국 수출은 2010년 1168억4000만달러에서 지난해 1330억1000만달러로 약 13.8% 늘었다.
수입액은 2010년 715억7000만달러에서 지난해 1398억8000만달러로 약 51.2% 늘어 상승세가 더 가팔랐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쎌쥙�ν걫占쎌뼔占쏙옙�용쐻�좑옙
HTML占쎌쥙�ο㎖猷잜맪�좑옙
雅�퍔瑗띰㎖�곗삕�⑨옙��뜝�뚯뒠占쏙옙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