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직 채용이 많아지고, 경기가 악화하면서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시기에 있는 청년들의 일자리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 |
14일 서울시내 대학의 채용정보 게시판에 채용공고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
이는 2013년 3분기(-10만3000명) 이후 가장 크게 준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고용 시장이 얼어붙었던 2020년보다도 취업자가 더 많이 줄었다.
20대 후반 취업자는 2023년 1분기 이후 9개 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있다.
감소 폭 역시 작년 3분기 4만4000명, 작년 4분기 6만2000명에 이어 3개 분기 연속 확대됐다.
20대 후반 취업자 감소는 인구 감소 추세를 고려해도 급격한 편이다.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인구는 6만9000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괄하는 경제활동인구는 8만5000명 감소했고, 경제활동참가율도 1.0%포인트 줄었다.
20대 후반 실업자는 1만3000명, 실업률은 0.6%포인트 각각 늘었다.
실업자와 실업률 증가폭도 전분기보다 확대됐다.
20대 후반 고용 부진의 원인으로는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 건설업 취업자 감소가 꼽힌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11만2000명 줄었고, 건설업 취업자도 18만5000명 급감했다.
기업들이 신규 채용보다 경력직 채용을 선호하는 현상도 청년층 취업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인구 구조적인 문제와 불어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심화하면서 20대 후반 청년들이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물거나 취업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청년들이 적성에 맞는 적합한 일자리를 찾아 20대에 첫 직장에 입직할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를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