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선 특허그룹장 전무, 지식재산 전략포럼서 발언
![]() |
2025년 제1차 지식재산 전략포럼에서 LG에너지솔루션 특허그룹장 이한선 전무가 발표를 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국가 전략 산업 글로벌 경쟁에 앞서기 위해서는 '명품특허(Premium Patent)' 확보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한선 LG에너지솔루션 특허그룹장 전무는 15일 특허청 주최로 열린 제1차 지식재산 전략 토론회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는 기술 패권을 위한 경쟁 중이며 핵심은 명품특허에 있다"라며 "미래는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이자 최초인 명품특허를 선점하는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명품특허는 핵심 기술을 폭넓게 보호하면서도 무효화 가능성이 낮아 기술 패권 경쟁에서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고품질 특허다. 이 그룹장은 "도전과 도약을 통한 선제적 핵심기술 개발과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명품특허 확보는 최고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명품특허가 우수한 기술성과 넓은 권리 범위, 강한 특허보호 수준 등으로 결정되며 기술 경쟁이 심화한 현시점에서 가장 강력한 보호 수단이라고 말했다. 초창기부터 기술 개발을 통해 배터리 시장을 개척해 온 기업에게는 '수익 창출 특허'라고 설명했다.
최근 2차전지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빠른 추격과 특허 확대 전략으로 경쟁이 격화하고 다수 중국 기업이 빠른 특허 심사 시스템을 활용해 신속하게 글로벌 특허를 확보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선제적 핵심기술 개발과 명품특허 확보가 중요하다고 했다.
다만 국내 기업이 연구개발(R&D) 거점을 주로 한국에 두고 있어 한국 출원 후 해외 확장 방식에 의존해 심사 속도와 권리 범위, 국제적 인정 측면에서 제약이 있다고 진단했다. 기업 노력만으로는 글로벌 명품특허 선점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의견이다.
이 그룹장은 명품특허가 단순한 기업 자산을 넘어 국가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핵심 전략이기에 기업뿐 아니라 특허청과 법원, 지식재산 업계 등 관련 주체가 각 영역에서 창출·활용·보호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월 기준 등록 4만여건, 출원 7만2000여건으로 현재 전 세계 배터리 기업 중 최다 특허를 확보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소재와 전극 설계, 공정 등 사실상 모든 과정에서 핵심적 특허를 선점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글로벌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고 기업 간 경쟁이 격화하면서 후발 기업 기술 도용 사례도 급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경쟁사가 침해하거나 침해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략특허' 수는 1000여개로 파악했다. 실제 침해된 것으로 확인된 특허 수는 580여건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고전압·고효율 전지에 적용하는 전해질, 고용량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 미드니켈 NCM(NCM523, 622)을 선도 개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술 침해 요소가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라이선스 계약 없이 무분별한 기술 침해가 지속되면 특허침해 금지 소송 등 강경한 대응도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주요 시장에서 현지 전문가를 적극 확보해 글로벌 소송 역량을 강화하는 등 지식재산권을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업계 선도자로서 최초이자 최고 기술 주도권을 지키고 산업 상생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배터리 특허 라이선스 시장 구축에 앞장서고 미래 핵심 기술 개발 적극 추진해 산업 발전 이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