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대형마트 쉬면 매출 20만 원 줄어…"의무휴업 개선해야"
전통시장 보호를 위해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제’가 오히려 오프라인 시장의 동반 침체를 부추긴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형마트가 쉬는 날보다 쉬지 않는 날 전통시장의 평균 식료품 구매액이 20만원 더 높았는데, 실효성이 떨어지는 대형마트 의무 휴업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
반면 온라인몰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식료품 구매액이 평균 8770만원으로 마트가 영업을 하는 일요일보다 130만원 많았고, 슈퍼마켓은 1920만원으로 110만원 많았다.
평소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의무 휴업일에는 전통시장보다 온라인몰과 슈퍼마켓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 통계와 비교하면 온라인몰 쏠림 현상은 더욱 뚜렷하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기준 전통시장 식료품 구매액은 2015년 1370만원에서 2022년 610만원으로 55% 감소했고, 슈퍼마켓도 3840만원에서 1920만원으로 줄었다.
반면 온라인몰 구매액은 같은 기간 180만원에서 8770만원으로 무려 49배가량 급증했다.
정부는 2012년 대형마트의 월 2회 공휴일 의무 휴업을 법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골목상권 보호라는 당초 목적과 달리 국민의 기본권만 제약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지난 2024년 공휴일 휴무 원칙이 먼저 폐지됐다.
한경연은 대형마트 영업 제한을 통해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방식이 온라인 시장 성장과 소비자 행동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접근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일본 역시 1973년 소규모 소매상 보호라는 정책 목표를 가지고 대형마트 영업시간 규제를 시행했으나 소비자 불편과 유통업 불황으로 이를 2000년 폐지했다.
![]() |
지난달 9일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배추를 고르고 있다. 뉴시스 |
유 위원은 "의무휴업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다면 과감하게 개선하거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온라인, 대형마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유통 생태계 구축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