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가 트럼프 행정부가 현재 90일간 유예한 상호관세를 되돌릴 경우 경기둔화 충격으로 인해 조기 금리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14일(현지시간) 주장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월러 이사는 이날 세인트루이스 연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다시 부과할 경우 "Fed는 금리 인하를 신속하게 단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4월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내용대로 상호관세 정책이 재시행될 경우 미국 경기 파장이 클 것으로 월러 이사는 내다봤다.
그는 미국의 실업률이 지금의 4.2%에서 내년 5% 이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3월 기준 현재 미국 실업률은 4.2%로 시장 전망치인 4.1%를 소폭 웃돈 바 있다.
반면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율은 5% 가까이 상승할 수 있지만,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이라며 우려를 일축했다.
월러 이사는 "고율 관세의 인플레이션 효과는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생산 측면의) 산출량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며 "이는 통화정책 기조 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만약 경기 둔화가 심각하고, 경기 침체 위험까지 동반된다면, 기존보다 더 빠르고 더 큰 폭의 정책금리 인하를 지지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일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은 "데이터를 보고 판단하자"는 신중론을 유지하고 있다고 FT는 짚었다.
관세발 인플레이션의 지속 기간을 두고도 FOMC 내부에선 의견이 엇갈린다.
경제 상황과 물가를 모두 살펴야 하는 제롬 파월 Fed 의장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0일 사설에서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Fed에 어려운 결정을 남겼다"고 짚었다.
Fed는 3월 FOMC 회의 결과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처음이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렸던 지난 1월 29일 회의에 이어 2회 연속 동결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Fed에 기준금리 인하를 재촉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에는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제롬 파월 Fed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에 최적의 타이밍"이라며 "그는 항상 늦지만, 지금 그동안의 이미지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에게 "정치를 멈추라"고도 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