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스코어, 100대 기업 직원 평균 근속연수 현황 조사
![]() |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 |
[더팩트ㅣ허주열 기자]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희망퇴직과 2030세대의 활발한 이직 등으로 직장인의 근속 기간이 짧아지고 있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오히려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매출액 상위 100개 기업 중 최근 5년 동안 직원들의 근속연수를 공시한 8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14.03년으로 4년 전인 2020년보다 0.48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020년의 평균 근속연수는 13.55년이었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여성 직원들의 근속연수가 4년 새 1.56년 늘어나며 전체 평균 상승세를 이끌었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2020년 11.38년에서 2024년 12.94년으로 증가한 반면, 남성은 같은 기간 14.29년에서 14.41년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증가폭을 보였다. 이에 따라 남녀 간 근속연수 격차는 2.91년에서 1.47년으로 대폭 좁혀졌다.
기업별로 보면 기아는 평균 근속연수가 21.8년으로 100대 기업 중 가장 길었으며 △KT(20.5년) △SK인천석유화학(20.0년) △한국씨티은행(18.84년) △SK에너지(18.68년)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두산밥캣은 근속연수가 3.2년으로 가장 짧았다. 그 외에도 △미래에셋캐피탈(4.2년) △HD현대중공업(4.3년) △키움증권(6.58년) △다우기술(6.88년) 등이 상대적으로 짧은 근속연수를 기록했다. 다만 HD현대중공업은 2019년에 분할 설립된 회사를 기준으로 공시되어 근속연수가 짧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근속연수 증가폭이 가장 큰 기업은 SK네트웍스로 2020년 9.05년에서 2024년 13.92년으로 4.87년 늘었다. 이 외에도 △이마트(13.1년, 3.2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0.5년, 3.0년↑) △삼성SDS(16.7년, 2.8년↑) △삼성물산(14.7년, 2.6년↑) 등이 근속연수가 크게 증가했다.
반면 현대자동차는 같은 기간 18.8년에서 15.8년으로 근속연수가 3.0년 줄어들며 감소폭이 가장 컸다. 또한 SK에너지(2.31년↓), 고려아연(2.17년↓), 한화생명(1.70년↓) 등도 근속연수가 감소한 기업으로 분류됐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평균 근속연수는 사업 부문별 또는 성별 평균 근속연수와 해당 직원 수를 곱해 총 근속연수를 산출한 후, 이를 총직원 수로 나눈 '1인당 평균 근속연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평균 근속연수는 기업이 사업보고서를 통해 공시한 전체 평균 근속연수와 차이 날 수 있다.
sense83@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