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4월에도 유가 하락이 수입물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겠지만 환율 동향을 지켜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143.04(2020년 100·원화 기준)로 전월(143.6) 대비 0.4% 하락했다.
![]() |
사진=뉴스1 |
전년 동기 대비로는 지난달 0.7% 올라 다섯 달 연속 상승했다.
수입물가 하락은 환율 상승에도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영향이다.
3월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평균 72.49달러로 2월(77.92달러)보다 7% 떨어졌다.
1년 전보다 13.9% 하락한 수준이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2월 평균 1445.56원에서 3월 1456.95원으로 0.8% 올라 상승폭이 비교적 완만했다.
품목별로 보면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3.3% 하락했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등이 올라 전월대비 0.7% 상승했다.
자본재(+1.6%)와 소비재(+0.9%)도 전월대비 소폭 상승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현재로선 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이 정도의 변동 폭이 이어진다면 수입물가에 유가 하락의 영향이 크게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현재 환율 변동 불확실성이 커서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수입 물가는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이 팀장은 “유가가 하락세를 지속하면 석유·화학제품 가격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도 “소비자물가는 농림수산품, 소비재 등이 많이 반영돼 최근 산불과 기상 여건 등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