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현대차그룹, '월드카 어워즈' 2관왕…EV3·캐스퍼 일렉트릭 나란히 수상


EV3, BMW X3·캐스퍼 EV 제치고 '올해의 자동차' 선정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 4년 연속 월드카 어워즈 수상


현대차그룹은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5 뉴욕 국제 오토쇼'의 '2025 월드카 어워즈'에서 기아 EV3가 '세계 올해의 자동차',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현지명 인스터)는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각각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티븐 센터 기아 미국법인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세계 올해의 차(EV3) 수상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은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5 뉴욕 국제 오토쇼'의 '2025 월드카 어워즈'에서 기아 EV3가 '세계 올해의 자동차',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현지명 인스터)는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각각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티븐 센터 기아 미국법인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세계 올해의 차(EV3) 수상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더팩트ㅣ황지향 기자] 현대차그룹은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월드카 어워즈'에서 기아 EV3가 '세계 올해의 자동차',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현지명 인스터)은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각각 선정됐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20년 텔루라이드의 수상을 시작으로 최근 6년간 총 5차례 세계 올해의 자동차 타이틀을 획득하게 됐다. 특히 2022년 아이오닉 5, 2023년 아이오닉 6, 2024년 EV9에 이어 EV3까지, 그룹의 전용 전기차가 4년 연속 세계 올해의 자동차로 선정되며 전동화 기술의 경쟁력을 보여줬다.

2004년 출범한 월드카 어워즈는 '유럽 올해의 차', '북미 올해의 차'와 함께 세계 3대 자동차 상으로 꼽히며 매년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수상 결과를 발표한다. 후보 자격은 최소 두 개 대륙에서 연간 1만대 이상 판매된 신차에만 주어지며 올해는 전 세계 30개국에서 모인 96명의 자동차 전문기자들이 심사를 맡았다.

EV3는 총 52개 모델이 경쟁한 올해의 자동차 부문에서 BMW X3, 캐스퍼 일렉트릭과 함께 최종 후보로 이름을 올려 경쟁 끝에 최종 수상작으로 낙점됐다.

EV3는 81.4kWh 배터리를 탑재한 롱레인지 모델과 58.3kWh 배터리를 적용한 스탠더드 모델 두 가지로 운영된다. 롱레인지 기준 산업부 인증 주행가능거리는 501km, 유럽 WLTP 기준으로는 605km에 이른다. 350kW급 급속 충전 시 10%에서 80%까지 충전 소요 시간은 31분이다.

현대차의 캐스퍼 일렉트릭 역시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등과의 경쟁에서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되며 소형 전기차 시장에서의 상품성을 입증했다.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현지명 인스터). /현대차그룹
현대차의 캐스퍼 일렉트릭 역시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등과의 경쟁에서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되며 소형 전기차 시장에서의 상품성을 입증했다.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현지명 인스터). /현대차그룹

실내 공간은 120mm 확장 가능한 슬라이딩 콘솔 테이블, 460ℓ 트렁크, 25ℓ 프렁크 등 다양한 수납공간을 마련해 실용성을 높였으며, 인공지능(AI) 기반 어시스턴트,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디지털키 2 등 동급 최고 수준의 편의 사양을 탑재했다. 안전 사양으로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 2, 차로 유지 보조 2, 9에어백 시스템, 서라운드 뷰 모니터 등이 포함됐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EV3가 권위 있는 월드카 어워즈에서 세계 올해의 차를 수상해 영광스럽다"며 "이번 수상은 혁신적인 기술과 우수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설루션을 제공하는 기아의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주며, EV3가 동급 최고 수준의 상품성을 바탕으로 전 세계 고객들에게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시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말했다.

현대차의 캐스퍼 일렉트릭 역시 포르쉐 마칸 일렉트릭 등과의 경쟁에서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 선정되며 소형 전기차 시장에서의 상품성을 입증했다. 캐스퍼 일렉트릭은 49kWh 배터리의 인스퍼레이션 모델과 42kWh 배터리의 프리미엄 모델로 운영, 산업부 기준 최대 315km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확보했다.

기존 내연기관 캐스퍼보다 휠베이스를 180mm 늘려 2열 공간을 확장하고 트렁크 공간도 47ℓ 증가시켜 실용성을 강화했다. 여기에 고속도로 주행 보조,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차로 유지 보조 등 상위 차급 사양도 적용됐다.

hyang@tf.co.kr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占쎈Ŧ逾믭옙占�
HTML占쎈챷彛�
沃섎챶�곮퉪�용┛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