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서 ‘FPA 메달’ 수상 만찬사
“추경 통과 땐 국가 안정 메시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중앙은행은 정부뿐 아니라 정치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외교정책협회(FPA)가 수여하는 메달을 받고 만찬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고 한은이 전했다.
![]() |
이어 “이는 최근 한국과 같이 대통령과 국회 다수당이 근소한 득표율 차로 결정된 극심한 정치적 분열하에서 더욱 명확해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나 정치적 불안이나 코로나19 같은 극단적 상황에선 중앙은행의 정책에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총재는 “대통령 탄핵이 조기 대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재정 정책에 대한 양당의 견해가 상반된 가운데 재정 부양책을 언급할 경우 정치적 편향으로 비칠 수 있었다”고 지난 2월 추가경정예산(추경) 필요성을 언급했던 당시를 회고했다.
그럼에도 발언한 이유에 대해 그는 “계엄 사태 이후 내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위축되고 있어 금리 인하와 함께 어느 정도 추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추경안이 초당적으로 통과된다면 한국의 경제 정책만큼은 정치적 상황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메시지를 국제 투자자들에게 줄 수 있어 국가신용등급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중앙은행가는 정치적 중립을 유지해야 하지만, 케인스가 그의 스승 마셜을 가리켜 말했듯이 경제학자는 때로는 정치인만큼 현실적일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은에 따르면 미국 비영리 기관인 외교정책협회가 수여하는 메달은 국제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책임감 있는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준 인물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이다.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