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근무시간 형태 다양화로
출산율·여성고용률 등 높여야”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 여성 고용률을 높이려면 근로시간 형태를 다양화하고 유연근무제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성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여정연) 연구위원은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여정연 주최로 열린 ‘저출생 대응을 위한 노사협력 방안 모색 공동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 |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2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저출생 대응을 위한 노사협력 방안 모색 공동토론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스1 |
유럽연합(EU)의 경우 4개월 단위로 주당 평균 48시간 이내 범위에서 탄력적으로 일하도록 해 일주일 단위로 관리하는 우리나라보다 유연한 근무 형태를 갖췄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노사 양측의 실질적인 참여 없이는 저출생 대응 또한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구미영 여정연 여성고용연구본부장은 공공·민간, 대기업·중소기업 등 6개 사례를 조사한 결과 고용과 근무조건이 열악했던 사업장에 노조가 설립되면서 단체교섭을 통해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이 활성화된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노사협력은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에 핵심적인 요소로 기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정책적 지원과 노사 간 장기적 파트너십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경영계는 저출생 대응을 위한 책임 있는 사회 주체로서 일·생활 균형을 실현할 수 있는 근무 환경 조성과 가족 친화적인 기업문화 확산 같은 실천 가능한 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노동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수 기자 ds@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