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 2013년 이후 최저치 전망
| 사진=연합뉴스 | 올해 1∼3분기 국내 누적 신차 등록 대수가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와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등에 따른 글로벌 수요 둔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올해 연간 국내 신차 등록 대수도 2013년 이후 가장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가운데 자동차 리스·렌트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자동차 구매 및 소유 방식이 ‘이용’으로 변화하면서, 리스·렌트와 같은 대안적 구매 방식이 급격히 확산된 결과로 분석된다. 30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20만9154대로, 작년 동기 대비 8.7% 감소했다. 이는 2013년 1∼3분기 117만5010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신차 등록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휘발유차는 올해 1∼3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9.6%(64만1000대→51만5000대) 줄었다. 경유차도 22만8000대에서 9만9000대로 56.7% 급감했다. 두 연료별 등록 대수의 총 감소대수는 25만5000대에 달한다. 반면 올해 1∼3분기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는 35만5000대로 역대 최다였지만,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6000대(27.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기차 등록 대수는 지난해 1∼3분기 11만8000대에서 올해 1∼3분기 10만8000대로 1만대가량(7.9%) 감소했다. 올해 연간 국내 신차 등록 대수도 160만대를 겨우 넘기며 11년 만에 최소를 기록할 전망이다. 앞서 KAMA는 올해 내수 신차 등록 대수가 170만대로 작년보다 2.8%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부진의 골은 더 깊어진 양상이다. 반면 리스·렌트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올해 6월 하나금융연구소에서 발표한 ‘자동차금융 트렌드 변화’ 자료에 따르면 연신금융협회가 밝힌 국내 자동차 리스 취급실적 중에서 운용리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기준 44%로 4년 새 1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국내 렌터카 등록 대수는 연 평균 5%씩 꾸준히 증가하며, 등록 비중 역시 2016년 2% 수준에서 올해는 6%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 가격 상승과 유지비 부담으로 인해 많은 소비자들이 초기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리스·렌트 상품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시장의 규모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리스·렌트 상품은 법인 차량을 주된 대상으로 설계된 서비스였지만, 최근 몇 년간 그 대중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과거 20%대에 불과했던 렌트카 및 운용리스의 개인 고객 비중은 40~50%까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향은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젊은 층에서 두드러진다. 이들은 '소유보다는 사용'이라는 ‘요노소비’(소비자가 가격보다는 자신의 만족을 중시하며 필요한 만큼만 소비하는 방식)를 추구하면서 자동차를 자산으로 보기보다는 하나의 소비재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장기적으로 소유보다는 필요한 기간 동안만 사용한 후 새 차로 교체하는 방식이 더 경제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정기적으로 새로운 모델로 교체하며 다양한 경험을 소비하고자 하는 이들의 성향은 리스·렌트 상품의 주요 강점과 맞아떨어진다. 전문가는 이처럼 변화하는 자동차 시장에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필수”라고 조언한다. 이날 세계일보와 통화한 차못모빌리티 이성미 팀장은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만큼 이를 악용한 불법 업체와 사기도 성행하기에 자동차 리스·렌트 상품을 선택할 때는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선 계약 조건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며 “특히 계약 기간, 월 납입금, 차량 관리 비용 포함 여부 등을 꼼꼼하게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계약 종료 후 차량 반환 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비용이나, 차량 손상 시 수리비 부담 등도 반드시 미리 확인해야 할 부분”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건 신뢰할 수 있는 업체를 통해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리스·렌트 상품을 제공하는 업체가 많아진 만큼 각 업체의 신뢰도와 고객 평가를 꼼꼼히 확인하고, 공식 인증된 업체를 통해 진행하고, 불투명한 계약 조건이나 과도한 수수료를 요구하는 업체들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