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정치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추미애 "국방부, 계엄 한달전 '비화폰' 7800대 확대 의결"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5-01-27 11:26:48

국방부가 12·3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한 달 전 비화폰(안보폰) 7800대를 추가 지급하는 계획을 의결했다고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7일 밝혔다.
비화폰은 도감청·통화녹음 방지 프로그램이 깔린 휴대전화다.


추 의원이 국방부에서 받은 ‘국방 정책실무회의’개최 계획 및 결과 보고서를 보면 국방부는 지난해 10월 28일부터 11월 1일까지 국방부와 군(軍) 내에 비화폰 지급 대상을 확대하는 계획을 심의·의결했다.
그 규모는 20204년에 3806대, 2025년에 4020대 등 총 7800대에 달한다.


국방부는 국방부 국·과장과 합동참모본부 주요 정책 담당자에게 지난해 안에 비화폰 96대를 지급하기로 했다.
육군과 해병대는 대대장 이상 지휘관과 주요 참모 등에게 지난해 안에 3193대, 올해 1659대를 지급하기로 했다.
국군방첩사령부는 현장 방첩요원에게 올해 안에 1525대의 비화폰을 나눠준다는 계획이 들어있다.
이 밖에 해군에는 396대, 공군에는 460대, 군 수사기관에는 218대를 지난해부터 올해에 걸쳐 지급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계획대로 지급된다면 올해 안에 국방부 소관 비화폰은 9816대에 이르게 된다.
2023년 말 1990대의 약 5배에 달하는 수치다.
국방부는 실제 이 의결 이후 주요 과장과 실무자에게 비화폰을 확대 지급했다고 추 의원은 전했다.


국방부는 "군의 효율적인 작전 수행 여건을 보장하고 보안 환경 변화에 따른 작전 보안 확립을 위해" 비화폰 지급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목적을 적었다.


추 의원은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 지시에 의해 국방부 실무자까지 비화폰이 확대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12·3 내란의 핵심 부대인 방첩사에 집중적으로 보급 확대가 계획된 배경을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대통령경호처가 이례적으로 비화폰을 지급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나왔지만, 김성훈 경호처 차장은 "확인해 드릴 수 없다"며 답변을 거부한 바 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