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조숙증은 나이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성장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나이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성장이 빠르게 진행되는 성조숙증을 겪는 소아청소년들이 늘고 있다.
2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한 ‘18세 미만 성조숙증 현황’에 따르면 성조숙증 환자는 2018년 10만 1273명에서 2022년 17만 8585명으로 약 80%나 급증했다.
성조숙증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정상적이지 못한 성호르몬 분비 결과로, 최종 키가 작아지거나 또래와 다른 신체변화로 학교생활 적응이 힘들어지는 등 다양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성조숙증은 유전적 요인과 서구화된 식습관, 스트레스, 소아비만 등 환경적 요인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특히 환경호르몬은 성조숙증과 관련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성조숙증은 예방 및 조기진단이 매우 어렵기에 이를 야기하는 환경호르몬을 미리 관리하는 게 좋다고 입을 모은다.
아울러 영유기때부터 환경호르몬 검사를 통해 성조숙증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호르몬은 외부 환경에서 우리 몸속으로 흡수돼 체내 정상적인 호르몬의 생성과 작용을 방해하는 내분비교란물질이다.
환경호르몬은 플라스틱 등 자연환경에 존재하는 화학물질로, 우리 몸에 들어와 성호르몬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내분비계 질서를 망가트린다.
체내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고농도 노출 시 선천성 성기 기형, 성 조숙, 내분비 관련 암 발생, 발달 장애, 지능저하 등을 유발한다.
환경호르몬은 치료가 어렵기에 조기 검사를 통한 회피 및 예방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노출되는 빈도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엔 환경호르몬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소아청소년 내분비교란물질 종합검사’가 주목 받고 있다.
국내 유일 내분비계 특화 검사연구센터인 내분비물질분석센터(ESAC)를 운영하는 GC녹십자의료재단은 간단한 소변 검체로 체내의 17종 환경호르몬(비스페놀 4종, 파라벤 3종, 트리클로산 1종, 프탈레이트 9종)의 노출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우리 아이 생활 속 환경호르몬 검사(이하 우생몬)’를 제공하고 있다.
우생몬 검사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와 질량분석기(MS)를 결합한 분석 기술인 LC-MS/MS 검사법으로 매우 민감하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검사 결과는 연령별 참고치가 적용돼 자신의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도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개인 상태에 맞는 생활개선 프로그램이 제시돼 맞춤형 해결책도 받아볼 수 있다.
조성은 GC녹십자의료재단 내분비물질분석센터 센터장(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은 “소아청소년의 성조숙증을 일으키는 환경호르몬은 우리 일상 속 곳곳에 퍼져 있다.
이에 영유아 시기부터 환경호르몬 노출 정도를 파악해 노출 가능성을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산모이거나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는 ‘우생몬 검사’를 통해 우리 아이가 생활 속 환경호르몬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지 미리 확인해보길 권장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이효정 기자 hyo@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