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수출국기구(OPEC) 국가와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OPEC+)는 내년 중으로 계획하던 원유 감산 해제 조치를 1년 늦추기로 했다. 내년 원유 수요가 줄어들며 원유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 영향이다.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OPEC+는 5일(현지시간) 온라인 회의를 열고 원유 증산 재개 시점을 미룬다고 밝혔다. 기존 감산 기조는 당초 OPEC+가 계획하던 내년이 아니라 2026년까지 유지된다.
OPEC+는 2022년 8월 증산 이후 원유 가격 방어를 위해 감산을 지속해오고 있다. 총 23개국이 참여하는 OPEC+는 3가지 감산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다. OPEC+ 참가국 전체가 따르는 하루 200만 배럴씩의 공식 감산, 사우디아라비아 등 OPEC+ 주도국 8개 나라가 시행 중인 자발적 감산이 2가지다. 자발적 감산은 하루 165만 배럴씩의 1단계와 하루 220만 배럴씩의 2단계로 나뉜다.
이날 OPEC+는 공식 감산과 1단계 자발적 감산의 완료 시점을 내년 말에서 2026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2단계 자발적 감산의 경우, 당초 내년 1월부터 감산량을 줄어나가기로 했지만 이 계획도 3개월 미뤘다. 내년 4월부터 감산을 완화하기 시작해 평균 하루 13만8000배럴씩 18개월간 점진적으로 감산량을 줄여나간다는 데 OPEC+는 합의했다.
OPEC+가 감산 기조를 더 끌고 가려는 것은 원유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한 것이다. OPEC은 최신 석유시장 보고서에서 내년 원유 수요 증가량을 중국의 경기 침체 등을 이유로 하루 185만배럴에서 154만배럴로 줄인 바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리스크로 인해 가격 하락 우려는 더욱 커졌다.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산 원유 증산 정책을 채택하고, 관세 전쟁으로 일으킬 경우 원유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감산 연장이 합의되지 않았다면 내년 1월부터 공개적으로 증산에 나서는 산유국들이 나올 수 있었다. 카자흐스탄 등 유전 개발을 계기로 증산을 원하는 곳이 나오면서 생산량 약속을 깨는 사례가 나올 가능성이 지적되기도 했다.
한편 이날 국제유가는 OPEC+의 감산 연장 조치에도 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근월물인 내년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12% 오른 배럴당 68.62달러,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내년 1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17% 높은 배럴당 72.43달러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