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반도체·화학·전산 분야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신규 개소해 운영한다.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은퇴를 앞둔 교수가 후배 교수와 협업하는 과정에서 그간 축적한 학문적 성과와 노하우를 상호 공유할 수 있게 돕는 KAIST의 독자적 연구제도다. 이 제도는 2018년 도입됐다.
KAIST는 7일 전기 및 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의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 화학과 김상규 교수의 ‘분자분광학 및 화학 동역학 연구실’,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의 ‘첨단 데이터 컴퓨팅 연구실’ 현판식을 연다고 밝혔다.
유회준 교수가 책임교수를 맡은 반도체 연구실은 같은 학과 김주영 교수가 함께 운영할 예정이다. 유 교수는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분야의 연구 업적을 보유한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힌다. 유 교수와 함께 할 김 교수는 거대언어모델과 서버용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를 연구하는 신진 연구자로,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의 핵심기술인 PIM(Processing-in-Memory) 설계기술을 연구한다.
이들은 심층 신경망 및 생성형 인공지능 등 뇌 모방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포함한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기술을 체계적으로 협업·전수해 핵심기술을 집대성할 계획이다. 또 연구개발 산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해 국내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 수 있게 돕는 것이 연구실 운영의 목표다.
김상규 교수는 같은 학과 김태규 교수와 협업해 연구실을 운영한다. 이어 분광학 및 동역학 분야 신임 교수가 이들 교수의 여정에 합류할 예정이다.
김상규 책임교수는 극초단 레이저와 초음속 분자선에 기반한 독창적 실험 장비를 자체 개발하는 독보적 기술을 확보, 실험 물리화학 분야를 창의적으로 개척해 온 세계적 리더로 평가받는다.
연구실 연구목표는 화학반응을 양자역학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개념을 검증하는 동시에 새로운 이론 및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화학반응 원리의 완벽한 이해 추구에 둔다. 여기에 더해 수반되는 기초과학 지식을 신물질 설계에 응용하겠다는 구상이다.
문수복 교수는 같은 학과 차미영 교수, 문화기술대학원 이원재 교수와 호흡을 맞춰 ‘첨단 데이터 컴퓨팅 연구실’을 운영한다. 문수복 교수는 대용량 데이터 기반 소셜 네트워크 연구의 무한 가능성을 싸이월드, 유튜브, 트위터 등으로 확인시켰다. 또 전산학 분야를 넘어 관련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차미영 교수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해 허위 정보, 빈곤, 재난 탐지 등 사회문제를 분석하는 데이터 과학자로 업적을 인정받아 한국인 최초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단장을 맡아 재직 중이다. 이원재 교수는 구조적 토픽 모델을 활용한 과학 및 기술 간 동적 상호작용 분석을 연구한다.
3인의 교수는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높이고, 감정과 도덕을 활용한 혐오 전조 탐지 모델을 개발해 혐오 표현 사전 차단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KAIST는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도입한 후 지난해 말까지 9곳을 운영해 왔다. 여기에 이날 추가 개소한 3곳을 포함하면,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총 12곳으로 늘었다.
반도체·화학·전산 분야 초세대 협업연구실 현판식은 이날(7일) 오전 각 연구실에서 진행된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