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30년간 항공 안전 연구하며 거의 처음 접하는 사례” “두 엔진 동시에 고장 날 확률, 700만 분의 1…매우 드물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블랙박스에서 충돌 당시 4분간의 기록이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권보헌 극동대 항공안전관리학과 교수는 “30년간 항공 안전을 연구하며 거의 처음 접하는 사례”라며 기록 손실의 이례성을 강조했다. | 무안공항 사고 현장에서 수거한 제주항공기 블랙박스. 속도·고도 등이 기록된 비행 기록 장치(FDR·Flight Data Recorder)는 전원-자료 저장 유닛 간 커넥터(위쪽 사진 그을린 부분)가 일부 손상됐다. 조종실 대화·지상과 교신 등이 담긴 음성 기록 장치(CVR·Cockpit Voice Recorder)는 외관은 온전했지만 FDR과 마찬가지로 둔덕 충돌 폭발 약 4분 전부터 자료 저장이 중단됐다(아래사진). 연합뉴스 | 권 교수는 1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블랙박스가 작동하지 않아 사고 당시의 기록이 남지 않은 사례는 매우 드물다”며 “항공기의 블랙박스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FDR(비행 데이터 기록장치)과 CVR(조종실 음성 기록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3400배의 중력 가속도와 섭씨 1100도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블랙박스 기록 손실의 원인으로 엔진 정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보잉 737 기종은 FDR과 CVR이 각각 좌우 엔진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다”며 “두 엔진 모두 기능을 상실하지 않았다면 블랙박스 기록이 중단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두 엔진이 동시에 고장 날 확률은 “700만 분의 1”이라며, 극히 드문 경우라고 부연했다. 그는 또한 이번 참사에서 CVR의 보조 배터리(RIPS)가 장착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해당 규제가 시행되기 전 제작된 항공기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보조 배터리는 CVR에 10분가량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이번 사고 항공기에는 해당 장치가 없었다. 권 교수는 사고 원인으로 조류와의 충돌, 즉 버드 스트라이크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참사 당시 조류 떼가 수백 마리 이상 항공기에 충돌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조류 경고가 있었더라도 고속 비행 중인 항공기가 이를 피하기는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조류와 충돌로 인해 우측 엔진이 먼저 정지하거나 화재가 발생했고, 이어 좌측 엔진도 정지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엔진 정지로 유압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면서 조종간이 무거워졌고, 조종이 극히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것”이라며 긴박했던 상황을 설명했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5일째인 12일 오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수습 당국 관계자들이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편 국토교통부는 참사 기종인 보잉 737-800에 대해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일부 항공사의 규정 위반 사례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점검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0일까지 6개 국적 항공사가 보유한 B737-800 101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국토부는 “랜딩기어와 엔진 등 주요 계통의 정비 이력과 절차를 점검한 결과 대체로 규정을 준수하고 있었지만, 일부 항공사에서 규정 위반 사례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비행 전·후 점검의 지연 ▲필터 교체 규정 미준수 ▲승객 탑승 절차 위반 사례 등이 포함됐다. 이번 참사는 항공 안전의 중요성과 정비 절차 준수의 필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었다. 권 교수는 “블랙박스 기록 손실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어렵게 됐다”며 “항공사와 정부는 이번 사건을 교훈 삼아 규정 준수와 조종사 대응 훈련 강화를 위한 조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