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첫날 '100개의 행정명령' 칼 빼든다…트럼프, 취임 직후 이민자 추방 작전
아주경제 기사제공: 2025-01-19 15:02:3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임기 첫날부터 ‘무더기 행정명령’이라는 칼을 빼어들 전망이다.
20일(이하 현지시간) 취임 직후 100건에 달하는 행정명령 관련 조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트럼프 당선자는 대규모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을 가장 먼저 실행할 방침이다.
특히 도발적 관세 부과 방침과 석유 시추 지원 등을 담은 강도 높은 행정명령을 통해 국제사회에 자신의 귀환을 다시 한번 각인시킬 것으로 관측된다.
 
AP통신 등 일부 외신은 트럼프 당선자가 취임 첫날 발표할 행정명령과 관련 조치가 100건에 이를 것이라고 18일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자는 이날 미 NBC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취임 첫날 서명하는 행정명령이 100개 이상인지 묻는 질문에 “적어도 그 정도는 될 것”이라고 밝혔다.
‘1호 행정명령’은 불법 이민자 추방 문제와 관련된 조치일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당선자는 “불법 이민자들의 대량 추방이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며 “아주 일찍, 아주 빨리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어느 도시인지는 말하고 싶지 않다.
직접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는 범죄자들을 우리나라에서 내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민자 추방 작전은 21일 아침 시카고에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민 세관 단속국은 작전 수행을 위해 100~200명의 경찰관을 파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시카고는 불법체류자들이 많은 곳으로 알려진 지역일 뿐만 아니라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국경 차르(총책임자)’로 지명된 톰 호먼은 이날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불법 이민 단속 계획이 유출된 것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2기 첫 행정명령에는 관세 관련 조치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당선자는 대선 유세 중 전 수입품에 10~20%의 보편관세와 중국산 수입품에 6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고, 당선 후에는 마약과 불법 이민자 유입을 막기 위해 취임 직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동시에 중국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취임에 맞춰 대외세입청을 신설하겠다고도 했다.
10~20%의 보편관세 추진을 위해 관세를 담당할 별도 기관을 두겠다는 취지다.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서는 석유 시추 등 화석연료 산업을 지원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퇴임을 앞둔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6일 대서양과 태평양, 멕시코만 등에서 한반도면적(22만3617㎢)의 약 11배에 달하는 해역에 걸쳐 신규 원유·가스 시추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기후 위기는 사기"라며 취임 직후 시추 확대 등 화석연료 장려를 예고해 온 트럼프 당선자는 해양과 국유지의 석유 생산을 금지한 바이든 정부 조치를 폐기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트럼프 당선자는 연방 기관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폐기토록 하고, 연방 공무원의 사무실 복귀를 요구하는 행정명령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9일로 미국 내 서비스가 막힌 중국 소셜미디어 플랫폼 틱톡 금지법 집행을 60~90일 유예하는 등 틱톡 구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당선자는 NBC에 틱톡 금지법과 관련해 “90일 연장이 이뤄질 가능성이 가장 크다”며 “그렇게 결정한다면 아마도 20일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당선자의 제47대 대통령 취임식은 당초 내셔널몰로 연결되는 의사당 앞의 야외무대에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북극 한파가 예상되면서 의회 의사당 안에서 진행된다.
바이든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조지 W 부시, 빌 클린턴 등 미국의 전직 대통령들도 취임식장을 찾는다.
트럼프 당선자와의 각별한 친분을 과시해 온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역시 취임식장에 나타날 예정이다.
세계 최고 갑부 1~3위로 꼽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회장,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도 취임식에 참석한다.

아주경제=조재형 기자 grind@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뺟튊�⑥퀪占싸살맶�좎럥��옙�쏆삕�ル∥吏쀥뜝�뚮땬占쎌닂�숋옙諛멥럪占쎌쥙�⒳펺�숈삕�좑옙
HTML�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뺧옙�얠삕筌믡꺂���좎럩裕놅옙占쎈쐻占쎈슣履e뜝�숈삕
�좎럥援�옙�뗭삕�븍툖�띶뜝�꾧뻗占쎈짘�앾옙袁わ옙節륁삕筌먦룂�뺝뜝�⑸쳛占쎈틶�앾옙�덉굲�좎럩鍮�옙�뗭삕�좎럥痢쎾뜝�뚯쪠�룹쉻�쇿뜝占�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