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보수 성향 유튜버 상당수가 12·3 비상계엄 이후 후원금 등으로 수익이 급증했다. 이에 국세청이 세무조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19/newhub_2025011915325994345_1737268379.png)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일 글로벌 유튜브 채널 순위집계 플랫폼 ‘플레이보드’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정 의원이 극우·보수성향 유튜버의 슈퍼챗 수입 순위 상위 7개를 분석해보니, 이중 6개 채널의 지난해 12월 슈퍼챗 수익 평균이 전월 대비 2.1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챗은 유튜브 채널 생방송 도중 시청자가 채팅창을 통해 유튜버를 후원할 수 있는 기능이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19/newhub_2025011914370794330_1737265027.jpg)
의원실에 따르면 극우 보수성향 유튜버 중 가장 많은 162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A는 지난해 12월 슈퍼챗 수입으로 1억2500만원을 벌어들였다. 전월 5908만원 대비 6621만원(2.1배) 늘었다. 유튜버 B는 수입이 2.3배(2034만원→4684만원) 증가했다. 유튜버 C와 D도 각각 2.1배 확대됐다.
유튜버 E는 11월 868만원에서 12월 2187만원으로 늘었다. 이는 한 달 사이 2.5배 늘어난 것으로 수퍼챗 수입 중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아울러 7개의 채널 모두 수퍼챗 수입과 별도로 계좌를 통해 후원금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5개 채널은 개인 명의의 계좌로 후원금을 모금했다. 후원금의 액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 외에 146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F의 경우 유튜버 개인 명의의 계좌번호를 영상 자막 등에 별도 표기해 후원금 수익을 냈다. 80만명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G는 본인 명의의 계좌가 아닌 제삼자의 개인 계좌를 게시해 후원금을 모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극우·보수성향 유튜버들이 허위정보와 무분별한 혐오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며 “이들의 각종 수입에 대한 세금 신고 및 과세가 투명하고 정당하게 이뤄지고 있는지 국세청의 신속하고 강력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