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김정은·트럼프 시그널 오가나… 北 22일 최고인민회의 주목 [美 트럼프 2기 개막]
세계일보 기사제공: 2025-01-19 19:10:21
트럼프 취임식 직후 최고인민회의
美 기류 살핀 뒤 메시지 조절 관측
북미대화 전제조건 등 내놓을지 관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2일 예고된 최고인민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행정부를 겨냥한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메시지가 나온다면 향후 북·미 대화 가능성과 그 전제조건을 유추할 수 있는 가늠자 성격을 띨 것이라는 관측이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지난달 5일 전원회의에서 22일 제14기 제12차 최고인민회의를 소집했다.
최고인민회의는 북한의 국회 격에 해당하는 헌법상 최고주권기관이다.
헌법을 개정하고 대내외 기본원칙을 수립하며 국무위원과 각료 등의 선출권을 갖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특히 이번 회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현지시간 20일) 이틀 후에 열린다.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연설을 살펴본 후 대미 메시지의 내용과 수위를 조절해 발표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이 직접 회의에 나와 시정연설을 통해 대미 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이 경우 북한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향후 관계를 엿볼 수 있는 단서가 될 전망이다.
북한이 생각하는 북·미 대화 재개의 전제조건과 목표치가 간접적으로나마 담길 가능성이 커서다.
북한은 그동안 트럼프 당선인을 직접 거명하거나 구체적인 대미 전략을 밝히지 않은 채 ‘신중모드’를 유지해왔다.
지난해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최강경 대미 대응전략’을 천명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이번 회의 안건으로 예고된 ‘사회주의헌법 일부조문 수정’의 내용이 공개될지도 관심이다.
김 위원장은 2023년 12월 전원회의에서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한 후 영토 조항 신설과 ‘통일’ 표현 삭제 등 후속 개헌을 지시한 바 있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회의에서 적대적 두 국가론을 반영한 헌법개정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시사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을 둘러싼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 대미·대남 메시지는 최소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북한학)는 19일 통화에서 “북한 입장에선 트럼프 당선인에게 자신들의 카드를 먼저 보여줄 이유가 없고, 우선 자신들이 선포한 ‘정면돌파전’ 노선에 트럼프 당선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고자 할 것”이라며 “(대남 메시지와 관련해선) 탄핵 국면으로 들어간 한국에 대해 입장을 밝히면 자신들이 (한국 상황에) 연루될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관 기자 gwan2@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