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심판 변론에 직접 출석한 가운데 경찰은 서울서부지법 폭력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대비를 강화했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1/newhub_2025012113462797263_1737434788.jpg)
21일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헌재 주변에는 64개 부대, 4000명의 인력이 배치되고 교통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 버스 차벽이 설치돼 헌재 앞 도로는 4개 차선 중 2개만 통행만 가능한 상태다. 경찰은 윤 대통령이 헌재에 도착하기 전까지 모든 횡단보도에 인간 띠를 만들어 통제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헬멧·진압복을 착용하고 캡사이신 분사기를 준비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지들이 뭔데 이런 걸 해놓느냐", "대통령 봐야 하는데 이게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 차량이 도착했다는 소식에 전해지자 "대통령 힘내라", "탄핵 무효" 등 구호를 외치며 경찰 저지선을 뚫고 들어가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한 집회 참가자는 연단에 올라 “이번 집회만큼은 비폭력 운동이어야 한다. 좌익들의 꾀에 넘어가 폭력을 써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환호했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1/newhub_2025012113464597265_1737434806.jpg)
헌재는 이날 오후 2시 윤 대통령 난핵심판 3차 변론을 연다. 윤 대통령이 탄 법무부의 호송용 승합차는 이날 오후 12시 48분께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정문을 출발해 오후 1시11분께 헌재에 도착했다. 호송차가 지하 주차장으로 들어가면서 윤 대통령의 모습은 노출되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 선포는 자유민주주의 위기가 그 배경이며 이를 바로 잡아야 할 대통령의 책무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비상계엄 선포 배경은 야당의 잇따른 탄핵소추안 발의와 선거관리 시스템 부실 관리 등이라고 주장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