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처한 틱톡의 운명을 결정짓는 협상이 이르면 이번 주말 시작될 전망이다. 매각 지분 50%를 넘기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중국이 아직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 틱톡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2일(현지시간) CNN은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의 이사회 멤버이자, 제너럴애틀랜틱 최고경영자(CEO)인 빌 포드의 발언을 인용해 이번 주말 틱톡과 관련한 협상이 시작된다고 보도했다.
포드 CEO는 이날 악시오스(Axios)가 후원한 스위스 다보스포럼의 한 행사에서 "(틱톡)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활성화하는 것이 모두의 이익"이라며 "우리는 빠르면 이번 주말쯤 무엇이 틱톡에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너럴애틀랜틱은 바이트댄스의 주요 투자자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포드 CEO는 "중국 정부와 미국 정부, 바이트댄스, 이사회가 모두 이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며 "자회사(틱톡)의 매각 이외에도 해결책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사회 측이 매각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미국 내 틱톡 금지령을 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포드 CEO가 틱톡 협상에 미국과 중국 정부의 참여를 촉구한 것은 이 사안이 단순히 개별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틱톡 금지를 풀어준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을 대중 압박의 수단으로 삼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을 유예하기로 하면서 틱톡의 미국 사업권 지분 50%를 미국 기업이 갖는 합작투자를 대안으로 제시하며 중국이 합의를 거부하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중국 외교부는 바이트댄스의 의지와 중국 법규 준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당선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트럼프 당선인의 언급에 관한 질문에 "기업의 운영·인수 등 행위에 대해 우리는 늘 ‘시장 원칙과 기업의 자주적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중국 기업에 관계된 것이라면 중국의 법률·법규에 부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오 대변인이 한발 물러선 입장을 취한 것은 중국 정부가 아직 틱톡 처리를 두고 입장을 정리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와 만나 틱톡 문제를 처리해도 늦지 않다는 계산이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CNN은 현재로선 미국에서 틱톡의 운명은 거래가 성사될 때까지 불확실하며, 트럼프가 나서서 매각을 중개하더라도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팔고 싶어 하는지도 알 수 없다고 전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