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에 따른 영유아 수 감소로 폐원 위기에 처한 어린이집을 돕기 위해 서울시가 '동행어린이집' 사업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시작한 동행어린이집 사업이 폐원 위기 어린이집 감소 성과로 이어졌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달 중 동행어린이집을 700개소로 늘린다.
동행어린이집 사업은 영유아 감소가 보육 서비스 품질 저하, 돌봄 공백, 다시 저출생 원인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기 위해 고안됐다. 폐원 위기 어린이집을 동행어린이집으로 지정하고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 우선 지원 ▲서울형 어린이집 신규공인 지원 ▲환경개선비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cdn.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3/newhub_2025012310293310552_1737595774.jpg)
시가 지난해 525개 어린이집을 동행어린이집으로 선정해 지원한 결과, 폐원 어린이집 수가 2023년 337개소에서 지난해 300개소로 11% 줄었다. 동행어린이집 중 80개소를 대상으로 경영 진단 컨설팅도 실시했는데, 98%가 내용에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시는 올해도 폐원 위기 어린이집 운영 정상화를 위해 이달 중 최대 700개소 내외로 동행어린이집을 확대 지정한다. 올해 기준 정원충족률이 70% 미만이고 시설 간 거리가 200m 이상이거나, 정원충족률 60% 미만이며 정원 50인 미만인 어린이집 316개소를 대상으로 동행어린이집을 이달 말 최종 선정한다. 지난해 선정된 동행어린이집에 대해서는 2년간 지원을 지속한다.
동행어린이집으로 지정되면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사업, 서울형어린이집, 보조교사 지원 등 서울시가 시행 중인 보육사업에 우선 선정해 지원한다. 선정된 어린이집은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사업을 위해 1개 반 당 월 39만4000원~140만원을 지원받는다.
어린이집의 낡은 환경과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환경개선비도 전액 지원한다. 환경개선 어린이집으로 선정되는 동행어린이집은 500~700만원을 받아 시설 보수에 사용할 수 있다. 시설개선비 자부담(30%) 요건도 없앴다.
동행어린이집에 대한 맞춤형 경영 진단 컨설팅도 지원한다. 올해 경영컨설팅을 신청한 어린이집 중 지역과 유형 등을 고려해 우선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컨설팅 참여 어린이집은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사업을 2개 반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환경개선비 지원도 우선 선정될 수 있다.
시는 동행어린이집의 남는 공간, 유휴 인력을 활용한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도 확대한다. 지난해 6월 시범운영 결과 호응도가 높은 점을 반영해 자치구별 최소 1개씩 운영될 수 있도록 상반기 중 25개소까지 늘릴 계획이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미취학 아동이 1~2시간씩 시간 단위로 이용할 수 있는 어린이집으로, 해당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아도 필요할 때 시간제로 맡길 수 있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동행어린이집 사업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올해도 동행어린이집 지정을 늘려 어린이집 운영을 정상화하고 양질의 보육서비스가 차질 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