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국가안보 사건 85%는 퇴역 군경이 연루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대만 당국자가 밝혔다. 24일 자유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대만의 중국 본토 담당기구인 대륙위원회(MAC)의 량원제 대변인은 전날 국가안보 사건과 관련한 분석에서 이같이 말했다. 량 대변인은 최근 기소된 가오안궈 전 대만군 중장 사건이 이달 초 기소된 육군장교 출신인 취훙이 ‘푸캉연맹당’ 주석 사건과 성격이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이 대만 현지에서 계획적이고 조직적으로 이들 세력을 양성했다고 강조했다. | 기밀 유출 혐의로 기소된 가오안궈 前 대만군 중장. 대만 자유시보 캡처 | 량 대변인은 현재 국가 안보와 관련된 사건의 85%에 퇴역 군경이 연루됐다면서 이런 상황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간첩 및 국가안보 관련 사건의 증거 확보가 매우 어렵다며 대만의 사법 체계가 유사한 국가안보 사건을 매우 중요시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대만 고등검찰은 가오 전 대만군 중장 등 6명과 취 주석 등 7명을 각각 중국에 포섭된 후 기밀 사항을 중국에 유출하는 등 국가안전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특히 가오 전 중장은 중국의 대만 침공이 이뤄질 경우 대만 내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대만 정부의 전복 및 정권 장악을 시도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 총통이 취임한 뒤 양안(중국과 대만) 관계가 냉각되면서 대만에서 간첩 혐의로 체포되는 군인들이 늘고 있다. 2023년 12월에는 중국으로부터 공작금을 받은 뒤 전쟁이 나면 투항하겠다고 서약한 대만 육군 고위급 장교에게 징역 7년 6개월 형이 확정된 바 있다. 한편 대만 국방부는 중국이 전날 오후 11시32분쯤 쓰촨성 시창 위성발사장에서 로켓을 발사했으며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을 지나 태평양으로 향했다고 밝혔다. 다만 당시 로켓 비행 고도는 대기권 밖이었다면서 대만 안보에 위협은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lol@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