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뉴스속 인물]취임사에 등장한 트럼프의 롤모델, '관세왕' 맥킨리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5-01-28 07:00: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취임사에서 북미 최고봉 디날리(6194m) 산의 이름을 다시 '맥킨리산'으로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제25대 대통령 윌리엄 맥킨리의 이름으로 되돌리겠다는 것이다.
알래스카주에서 가장 높은 이 산은 100년 가까이 맥킨리로 불리다 2015년 버락 오바마 전 정부 시절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로 '신성함'을 뜻하는 디날리로 바뀌었다.



명칭 변경은 트럼프 대통령이 맥킨리 전 대통령을 존경하는 마음을 담은 것이란 해석이 우세하다.
취임식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맥킨리 전 대통령이 자신의 롤 모델임을 거듭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맥킨리 전 대통령은 관세와 재능을 통해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었다"며 "그는 파나마 운하를 비롯해 많은 일을 할 수 있도록 (26대 대통령인) 테디 루스벨트에게 그 돈을 줬다"고 추켜세웠다.


윌리엄 맥킨리는 19세기 마지막 미국 대통령이다.
1897년부터 1901년까지 재임했다.
1843년 미국 오하이오주에서 태어난 맥킨리 전 대통령은 1861년 미국 남북전쟁이 터지자 18살의 어린 나이로 군에 입대했다.
상사로 시작해 중위까지 승진한 뒤 전역했다.
전쟁 후 변호사가 됐고, 오하이오주에서 법률 활동을 시작했다.
오하이오주 공화당 하원으로 정치를 처음 시작해 14년간 활약했다.
1891년 오하이오주지사로 선출됐고, 재임에도 성공했던 그는 1896년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트럼프는 맥킨리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영토 확장에 큰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관세왕'이라고도 불렸던 맥킨리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50%에 달하는 높은 관세(딩글리 관세법)를 부과해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섰다.
평균 관세율을 57%까지 인상했고,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높은 관세율로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자국 경제 성장이 촉진되고 일자리가 창출되는 등 미국 제조업의 경쟁력은 높아졌다.
맥킨리 행정부의 친기업적인 분위기 아래 미국 기업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맥킨리 전 대통령은 해외 영토 확장을 통해 미국을 세계 강국으로 만들었다.
특히, 1898년 발발한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해 미국 영토를 확대했다.
당시 스페인 식민지였던 푸에르토리코, 괌, 필리핀(이후 독립) 등을 미국으로 병합시켰고, 하와이도 손에 넣었다.
미국의 영향력은 전 세계로 확대됐고, 미국발 제국주의도 팽창하게 된다.


맥킨리 전 대통령은 1900년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1901년 무정부주의자가 쏜 두 발의 총탄을 맞고 8일 뒤 사망했다.
맥킨리 전 대통령 타계 후 부통령이었던 루스벨트가 미국 역사상 최연소의 나이로 대통령 자리에 올랐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