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소를 인생의 동반자로 생각”
소 건강 살피고 보호하며 대회 참여
“고유문화 다음세대 계승에 의무감”
지난달 20일 경남 진주시 소힘겨루기경기장에서 수소 ‘범골’이가 힘찬 울음과 함께 발을 굴렀다.
뿌듯하게 소를 바라보는 ‘우주(牛主·소 주인)’에게 이곳에 온 이유를 물으니 이달 ‘창녕 전국 민속소힘겨루기대회’를 앞두고 흙바닥 적응 차원에서 데려왔다고 했다.
소힘겨루기가 동물학대라는 주장이 있다고 하자 그는 ‘일방적인 편견’이라고 반박했다.
지역 축제 중 하나인 소힘겨루기대회를 둘러싼 동물학대 논란이 이어진다.
유흥 등 목적에 따른 동물 상해를 금지하면서도 소힘겨루기는 예외로 둔다는 동물보호법 제10조가 쟁점이다.
이 조항을 없애야 한다는 게 동물단체 입장이다.
우주들은 소힘겨루기를 전통문화로 인정하는 공식 법령이라고 맞선다.
양측 대립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소힘겨루기의 명맥을 잇겠다는 이들이 있다.
‘2세대 우주’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 |
2023년 경북 청도에서 열린 ‘청도왕중왕 소힘겨루기 대회’ 직후 김민재씨(오른쪽)가 부친과 함께 힘겨루기소 ‘오름’이를 가운데 두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김민재씨 제공 |
진주에서 만난 대한민속소힘겨루기협회 창원시지회 사무국장 김민재(36)씨는 경북 청도 소힘겨루기경기장을 운영하는 청도공영사업공사 조교사로 활동 중이다.
조교사는 농촌과 축산 발전 이바지 취지에서 제정된 ‘전통 소싸움경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힘겨루기대회를 관리·운영하고 경기 결과를 판정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직업에 커다란 자부심이 있는 그는 소힘겨루기대회가 동물학대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소힘겨루기를 전통문화로 해석하고 반감 없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보며 그는 조교사로서 더욱 사명감을 갖는다.
조교사를 꿈으로 둔 아이들도 있다고 김씨는 말했다.
그는 “대구에 사는 한 가족이 청도에 놀러 왔다가 소힘겨루기대회를 접했다”며 “부모님과 온 그 아이가 조교사의 꿈을 키우고 있다”고 떠올렸다.
김씨는 아이의 부모가 소힘겨루기를 동물학대로 봤다면 조교사라는 자녀의 꿈을 응원해주겠냐고 반문했다.
![]() |
경남 창녕에서 열릴 전국 민속소힘겨루기대회를 앞두고 지난달 20일 진주시 소힘겨루기경기장에서 힘겨루기소 한 마리가 흙바닥 적응을 하고 있다. 김동환 기자 |
염문(15), 용사(13), 범수(4), 청골(7)이는 그에게 ‘가족’이다.
그는 “보이는 것만으로 판단하지 말아야 한다”며 “우리는 소를 인생의 동반자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를 생각하는 건 강아지나 고양이 키우는 분들과 똑같다”고 강조했다.
같은 협회의 진주시지회 사무국장 한창우(35)씨도 “소힘겨루기대회는 선조들로부터 내려온 전통문화”라고 부각했다.
한씨도 아버지에게 일을 물려받았다.
그는 “‘이제 니하고 소는 동반자’라고 아버지께서도 말씀하셨다”며 “소는 자기를 대하는 사람을 알아보는데 그런 관계는 타고난다”고 했다.
◆힘겨루기소 나보다 더 아껴
힘겨루기소 키우기 일과는 오전 6시쯤 시작한다.
소에게 여물과 사료 등을 먼저 준 뒤 아침밥을 먹는다.
소도 햇볕을 쬐어야 해 일광욕을 시키고 때가 되면 점심을 먹인다.
도보 훈련 등도 반복한다.
저녁 챙기고 아픈 곳은 없는지 살피는, 24시간도 부족할 것 같은 일상이 1년 365일 되풀이된다.
![]() |
지난달 20일 경남 진주시 소힘겨루기경기장에서 만난 대한민속소힘겨루기협회 진주시지회 한창우 사무국장(왼쪽)과 창원시지회 김민재 사무국장이 소힘겨루기 전통문화 계승 의지를 다지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동환 기자 |
김씨와 한씨는 “오히려 자신보다도 소를 더 아낀다”고 입을 모았다.
대한민속소힘겨루기협회는 소의 안전 관리 정책을 유지하는 한편 힘겨루기가 우리의 문화라는 점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진주와 청도 등 전국 11개 지회에 소속된 우주는 400여명 수준이다.
협회 관계자는 “올해 총 6개 대회가 예정됐다”며 “소 보호 차원에서 우주들의 3개 이상 대회 출전 금지를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에게는 고유문화를 다음 세대에 물려줄 의무가 있다”며 “소힘겨루기가 조상들에게서 온 전통문화라는 점을 계속 알리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