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해 유럽 대륙을 보호하기 위해 프랑스의 핵 억지력을 확대하겠다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발언에 러시아가 거세게 반발했다.
6일(현지시간)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나폴레옹의 시대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다.
그의 최후가 어땠는지는 잊은 채"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조국수호자 재단 수혜자, '특별군사작전'으로 가족을 잃은 여성을 함께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또 러시아의 적들은 러시아를 과소평가하는 실수를 범했다고 강조했다.
마크롱 대통령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812년 러시아 침공에서 수많은 병력을 잃고 패퇴했던 역사를 언급하며 전날 대국민 연설 내용을 비판한 것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전날 연설에서 "유럽의 동맹국 보호를 위한 핵 억지력에 대해 전략적 대화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마크롱 대통령의 연설에 대해 "매우 극도로 대립적"이라며 "평화를 생각하는 국가 수장의 연설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마크롱의 연설을 보면 프랑스가 정말 전쟁 지속을 원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크롱 대통령이 러시아를 유럽에 대한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한 데 대해서는 "외교적으로 많은 부정확성을 담은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러시아 국경 쪽으로 동진하면서 러시아가 정당하게 우려한다는 언급이 빠졌다는 것이다.
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휴전 시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보낸다는 마크롱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는 "러시아가 이에 동의할 수 있겠는가? 그 대답은 분명하기 때문에 직접 답하지 않겠다"고 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마크롱 대통령의 연설에 대해 "그가 우리를 위협으로 본다면, 핵무기를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면, 러시아에 핵무기를 사용할 준비가 됐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당연히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라고 밝혔다.
또 마크롱 대통령이 과거에 러시아와 싸우고 싶어 한 나폴레옹, 히틀러와 달리 우아하게 행동하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나폴레옹, 히틀러가 '러시아를 정복해야 한다'고 직설적으로 말했던 것과 달리 마크롱 대통령은 같은 것을 원하면서도 '러시아가 프랑스를 이기지 않도록 싸워야 한다.
러시아가 프랑스와 유럽에 위협을 준다'고 말한다고 덧붙였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도 타스 통신에 "그는 매일 현실과 동떨어지고 전적으로 모순되는 발언을 한다"며 "그는 이야기꾼"이라고 비판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프랑스 대통령은 러시아가 가상의 '실존적 위협'이라는 것을 자국민에게 확신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역으로 그의 발언은 본질적으로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마크롱 대통령의 연설에 '핵 협박'이 담겼으며 프랑스가 유럽의 핵 후원자가 되겠다는 야망이 공개적으로 드러났다며 "러시아가 군사 계획을 세울 때 프랑스 대통령이 언급한 내용을 고려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프랑스가 유럽에서 미국의 핵우산을 대체하려고 하지만 핵전력 잠재력은 미국보다 훨씬 약하다고 지적했다.
평화유지군 명목으로 우크라이나에 서방 군대를 배치한다는 마크롱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서는 "용납할 수 없다고 거듭 밝혀왔다"고 강조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마크롱 대통령을 '미크론'(Micron)이라고 부르면서 "미크론 그 자체로는 큰 위협을 주지 않는다.
그는 2027년 5월 14일(마크롱 대통령의 임기) 이전에 영원히 사라질 것이며 그리움의 대상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우리는 우리에게 적합하고 장기적인 역사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평온을 보장할 수 있는 평화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징집병을 전투 지역에 보내지 않는다고 밝혔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