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서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많은 누리꾼이 제보해 줘서 알게 됐다.
확인해 보니 인스타그램 릴스 영상으로 올려 이미 조회수가 3000 만건이 넘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농촌 생활을 이용해 김치를 홍보하는 이유는 '오래전부터 중국 시골에서 만들어 먹었던 음식'이라는 점을 대외적으로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런다고 세계인들이 속겠나. 어리석은 꼼수에 불과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서 교수는 지난 2021년 김치를 담그는 동영상에 '중국음식(ChineseFood)'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물의를 빚었던 중국 스타 유튜버 리쯔치 사례도 언급했다.
서 교수는 "세계인들이 한국 문화를 주목하고 즐기다 보니 중국인들의 열등감은 날로 심해져 가고 있다"고 했다.
또 "우리는 이를 역이용하여, 더 세련된 방식으로 한국 문화를 전 세계에 널리 알려 나가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주경제=정세희 기자 ssss308@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