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중국 ‘10%+10%’ 관세 부과에 맞서 보복 관세 부과를 개시했다.
양측이 나란히 관세보복을 주고받으면서 미·중 간 양보 없는 관세전쟁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산 농·축산물을 겨냥한 중국의 관세 부과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핵심 표밭을 겨냥해 트럼프 행정부를 곤란하게 만들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이번 대(對)미 보복 관세 부과는 중국 식탁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어 중국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0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0시부터 미국산 닭고기·밀·옥수수·면화(총 29개 품목)에 대한 관세를 15% 인상했다.
수수·대두·돼지고기·소고기·수산물·과일·채소·유제품(총 711개 품목) 관련 관세는 10% 높였다.
일본 무역진흥기구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들여온 740품목의 수입 규모는 223억달러로 전체 대미 수입의 14%를 차지했다.
이번에 관세 품목 대상이 된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 등을 포함하면 관세 영향권에 들어간 대미 수입액은 전체의 22%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일 중국 정부에 총 20% 보편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반격 조치다.
앞서 미국이 지난달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매기자 중국 정부는 같은 달 10일부터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추가 관세를, 원유·농기계·대배기량 자동차·픽업트럭 등에는 10% 추가 관세를 붙이기로 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가 이달 4일 10% 추가 관세를 한 차례 더 부과하자 중국 정부가 이날 또다시 2차 보복 관세를 발동한 것이다.
이번 관세 부과는 미국산 농산물에 초점을 맞췄다.
중국이 관세 부과를 개시한 옥수수·대두 등의 주요 생산지역은 지난해 대선 때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 표밭이다.
중국은 트럼프 집권 1기 시절에도 관세 부과 조치에 미국산 대두 구매 예약 취소 등의 계약조정을 포함해 미국 농심(農心)을 흔들었다.
다만 중국의 2차 보복 조치가 중국에 ‘제 발등을 찍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은 대두의 80% 정도를 수입에 의존한다.
콩을 짠 찌꺼기는 돼지 사료로 쓰여 수입가격 상승으로 콩이 줄어들면 중국인의 식탁에 빼놓을 수 없는 돼지고기의 공급 감소나 가격 급등을 초래할 수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중국 당국은 돼지고기 가격에 민감하다"며 "1989년 당국이 민주화 운동을 무력 진압한 천안문 사건도 돼지고기 가격 상승이 원인이 됐다는 지적도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추가 관세 보복 조치를 내놨지만 미국을 향해 유화 메시지도 되풀이하고 있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지난 6일 "협박·위협은 중국에 통하지 않는다"면서도 "(미·중) 양국은 적당한 시기에 만날 수 있고, 양국의 팀 또한 조속히 소통을 할 수 있다"고 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