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국경을 접한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미국으로 보내는 전기 요금에 25%를 할증하는 보복 조치를 단행하면서 갈등 지속 시 전력 공급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0일(현지시간) 온타리오주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전기에 25% 할증료를 부과했다고 밝혔다.
온타리오주는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갈등을 고조시킬 경우 할증료를 더 높이거나 전력 공급을 아예 차단할 준비가 돼 있다고 경고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이날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미국 경제에도 재앙"이라며 "관세로 인해 미국 가계와 기업의 비용이 더 비싸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관세 위협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온타리오는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굳건하게 서서 온타리오를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사태를) 책임져야 할 사람은 단 한 사람, 트럼프 대통령이다"라고 덧붙였다.
온타리오주 발표에 따르면 이번 전기료 인상은 온타리오주와 인접한 미시간, 미네소타, 뉴욕 등 3개 주의 150만 미국 가구 및 사업체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전기료 할증에 따른 비용 상승은 하루 40만캐나다달러(약 4억원)에 달할 것으로 집계했다.
온타리오를 비롯한 캐나다의 지방 정부들은 주 정부가 운영하는 주류점에서 미국산 위스키와 와인을 진열대에서 빼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왔다.
지난해 미 대선에서 민주당 소속 부통령 후보였던 팀 월즈 미네소타 주지사는 앞서 온타리오주의 전기료 할증 예고에 "신규 관세와 그에 따른 캐나다의 대응은 미네소타주의 경쟁력을 다른 주보다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한 바 있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은 온타리오주의 이날 조치가 미국에 실제 경제적 충격을 주기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전력 거래소의 현물 가격은 단기적인 전력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며 "전력 구매자들은 여러 판매자 중에서 거래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반드시 캐나다에서 구매할 필요는 없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욕주는 2023년 전체 전력의 4.4%를 캐나다로부터 수입했다.
또 미네소타주와 미시간주의 경우 지난해 전체 전력의 1% 미만을 캐나다에서 수입했다.
캐나다산 전력 가운데 온타리오주 의존 비중은 절반 이하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다가 자동차를 비롯해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은 다음 달 2일까지 관세 적용을 유예한 상태다.
이에 캐나다 정부는 1단계 대응 조치로 300억캐나다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한 뒤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다만 1250억캐나다달러 규모의 추가 보복 관세 시행은 다음 달 2일로 연기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