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치매 환자 수가 내년 100만명을 넘을 전망이다.
치매 유병률은 75세 이상부터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해 85세 이상에선 20%를 넘어섰다.
지역사회에서 치매 환자 한명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연간 1734만원, 시설·병원에서 돌보는 비용은 3138만원에 달했다.

복지부는 12일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치매역학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치매실태조사는 최초의 법정 실태조사다.
치매역학조사와 연계해 치매 환자를 선별한 후 환자와 가족의 돌봄 현황 등을 파악하고 질병 부담을 측정하기 위해 시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 수와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5년 치매 환자 수는 97만명(유병률 9.17%)으로 치매 환자 수가 100만명을 넘는 시점은 2026년, 200만명을 넘는 시점은 2044년으로 추정됐다.
치매 위험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수는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경도인지장애란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등 객관적인 검사에서 확인될 정도로 저하돼 있으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돼 있어 치매가 아닌 상태를 뜻한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수는 2025년 298만명(유병률 28.12%), 2033년엔 400만명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앞서 2016년 조사 당시 경도인지장애 진단자 수는 2025년 236만명, 2040년 403만명으로 예측된 바 있다.

치매 유병률은 소폭 감소하고,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조사에 따르면 2023년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25%로 2016년(9.50%)보다 0.25%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8.42%로 2016년(22.25%)보다 6.17%포인트 증가했다.
치매 유병률의 변화 요인으로는 먼저 1차 베이비붐(1955~1963년) 세대의 노년기 진입이 꼽힌다.
2020년부터 1차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 출생자가 65세에 진입하면서 2016년 역학조사 대비 65세 이상의 인구가 약 268만명 증가했다.
인구구조의 변화가 치매 유병률 감소에 작용했을 것이라는 게 복지부의 추정이다.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이 증가한 요인으로는 치매와 경도인지장애의 진단 기준의 세분화 영향이 있다.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조기진단이 가능하게 됐고, 치매 조기 검진 활성화로 치매로 악화하기 이전 단계에서 진단이 이뤄지게 됐다.
노인 세대의 건강 수준 및 치매 사전 예방관리 수준 향상도 치매로의 진행을 늦춰 치매 유병률은 낮추고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 고령일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도시보다 농어촌에서, 가족·동거가구보다 독거가구가,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치매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 치매 유병률은 75세 이상부터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해 85세 이상에선 20%대를 초과했다.
지역별 치매 유병률은 ▲동 5.5%, 읍·면 9.4% ▲광역시 3.8%, 도 8.5%로 도시보다 농어촌의 유병률이 높았다.
가구 유형별 치매 유병률은 독거가구가 10%로 배우자와 다른 동거인 5.2%, 배우자와 거주 4.9%보다 확연히 높았다.
교육 수준에 따라서도 무학 21.3%, 고졸 2.6%, 대학교 이상 1.4% 순으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치매 관리 및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책은 경제적 비용 경감이었다.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은 지역사회 1734만원, 시설·병원 3138만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보건의료비 자체보다 돌봄비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이번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된 내용을 토대로 2026년부터 5년에 걸쳐 제5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치매 조기발견 및 초기 집중관리를 위해 치매안심센터(보건소) 역할을 강화한다.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등 노인 다빈도 방문 시설을 중심으로 찾아가는 치매 검사·예방 교육 서비스 역시 지속 추진한다.
독거, 부부 치매 등 돌봄 사각지대 위험이 있는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계속 거주에 필요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맞춤형 사례 관리에도 나선다.
치매 가족들의 돌봄부담 경감을 위해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도 확대 추진한다.
돌봄 필요도가 높은 중증 수급자(1·2등급)의 재가급여 월 한도액을 시설입소자 월 한도액 수준으로 단계적 인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치매 유병률 및 치매 환자와 가족의 돌봄 현황 등을 파악하고 치매 관련 미래 변화 추계 및 다양한 욕구 분석을 할 수 있었다"며 "치매 환자의 절대적 수는 고령화에 따라 꾸준히 증가할 것이기에 치매 대응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이번 조사에서 돌봄 부담이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대책을 추가로 발굴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