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정부 효율화를 추진 중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교육부 직원 1300명 이상을 해고한다고 11일(현지시간) AP 통신과 워싱턴포스트(WP) 등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교육부 규모가 반토막 나게 된다.
올해 초 기준 교육부 직원 수는 4133명으로, 이날 하루 동안 약 3분의 1에 달하는 1315명을 해고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교육부에서 해고 작업을 진행 중이었다.
최근 몇 주간 약 572명이 자발적 해고 제안을 수락했고, 수습 직원 63명의 계약이 지난달 종료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 규모는 절반으로 줄게 된다.

교육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와 함께 뉴욕, 보스턴, 시카고, 클리블랜드 등에 있는 사무실 임대 계약도 종료한다.
다만 이 같은 변화가 연방 교육 지원금 배분, 저소득 가정 지원, 학자금 대출 관리 등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오늘의 감원은 교육부의 효율성, 책임 및 자원이 가장 중요한 곳, 즉 학생, 학부모, 교사에 집중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맥마흔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많은 프로그램이 정말 훌륭하기 때문에 자금이 주(州)에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맥마흔 장관은 상원 인준을 통과한 지난 3일 직원들에게 대규모 삭감에 대비하라고 예고했다.
또 행정적 비효율을 줄이고 기관의 권한을 각 주에 넘기는 것이 교육부의 '최종 임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운동 당시 교육부를 폐쇄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또 교육부가 급진주의자, 광신자, 마르크스주의자에게 장악당했다고 주장했다.
직원 해고, 사업 중단, 연구 용역, 보조금 취소 등 방법으로 교육부 기능을 축소해왔다.
맥마흔 장관은 최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교육부 폐쇄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하더라도 실제 교육부 폐쇄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폐쇄를 위해서는 의회의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하원에서 공화당이 다수당이지만 교육부 폐쇄에 반대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만큼 충분한 찬성표를 얻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도 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