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2030년 쌀 수출 목표량을 현재의 8배 수준인 35만t으로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사히신문 등 현지 언론은 "지난해 일본의 쌀 수출량은 4.5만t으로 주식용 쌀 생산량의 약 1%였으나 이 계획대로라면 5% 수준으로 늘어난다"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농림수산성은 5년마다 개정하는 '식료·농업·농촌 기본계획'에 이러한 쌀 수출 증대 목표량을 반영할 예정이다.
쌀 잉여 생산 능력을 활용해 수출을 확대했다가 수급난이 발생하면 수출분을 국내 공급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가격 폭등을 막게 된다.
또 주식용 쌀의 경작 면적이 과도하게 축소되는 것도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주식용 쌀 수요가 연간 10만t 정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자 보조금을 주면서 주식용 쌀 대신 다른 작물을 기르도록 전작(轉作)을 독려해왔다.
지난해는 쌀 약 12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논이 비료용 작물 재배 등에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쌀값이 예년의 2배 수준으로 오르자 비축미 방출을 결정하는 등 정책 환경이 변화를 맞고 있다.
'식료·농업·농촌 기본계획'은 이달 말께 각의(국무회의 격)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아사히신문은 농림수산성은 이 계획과는 별도로 2040년 쌀 수출을 100만t으로 늘려나갈 구상도 있다고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2030년 일본 식품·외식 업체의 해외 진출에 따른 수익 목표를 현재의 2배 수준인 3조엔(약 29조원)으로 잡았다고 보도했다.
또 방일 여행객의 음식 소비를 현재의 3배인 4조5000억엔으로 설정해 '식료·농업·농촌 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