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방의 스마트 도어록. |
국내 대표 프롭테크 기업 직방(대표 안성우)이 디지털 도어록 이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소비자들이 비밀번호 누출 및 해킹 범죄에 대한 높은 우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직방은 전문 조사기관과 함께 전국 30~59세 아파트 자가 보유자 중 최근 3년 이내 디지털 도어록을 구입하거나 교체한 경험이 있는 5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도어록 이용 현황 및 선호도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출입 인증 방식(복수 응답)은 비밀번호(87.4%)였지만, 만족도는 62.9%로 스마트폰 앱(83.3%), NFC 태깅(74.7%), 지문인식(79.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비밀번호 방식에 불만을 느낀 주요 이유(복수 응답)는 △비밀번호 누출 우려(75.3%) △비밀번호 해킹 범죄 우려(44.4%) △방문자에게 비밀번호를 알려주는 것에 대한 불편(34.0%) △비밀번호를 자주 잃어버리는 문제(16.0%) 등이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전용 스마트폰 앱과 IoT(사물인터넷)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록’ 이용 현황도 포함됐다.
응답자 중 스마트 도어록을 사용한다고 답한 비율은 36.6%(183명)였으며, 나머지 응답자 중 63.1%가 향후 스마트 도어록으로 교체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스마트 도어록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다.
스마트 도어록으로 교체 시 가장 기대하는 기능(3순위 복수 응답)으로는 △실시간 도어록 상태 확인(73%) △원격 문 열기(53%) △가족 귀가 알림(49%) 등이 꼽혔다.
한편, 직방 스마트홈은 기존 도어록 출입 인증 방식의 보안 문제를 보완하고, 더욱 안전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 1월 AI 기반 스마트 도어록 ‘헤이븐(ZD-R90)’을 출시했다.
헤이븐은 국내 최초로 숫자 키패드를 없앤 ‘패스워드리스’ 출입 방식을 적용해, 비밀번호 입력 없이 스마트폰 태깅만으로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AI 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한 얼굴 인증 기능이 탑재돼 가족 구성원별 출입 인증이 가능하다.
외부 방문자나 임시 방문자를 위한 모바일 키 발급 및 관리 기능도 제공돼 편리함을 더했다.
안성우 직방 대표는 “AI 도어록 헤이븐은 강력한 보안 기술을 통해 비밀번호 유출이나 해킹 문제를 원천 차단해 가족과 주거 공간의 안전을 책임진다”며 “앞으로도 보안과 편의성을 모두 갖춘 AI 기술 기반 스마트홈 제품 라인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