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과도기 틈타… 이 “시리아 남부 무기한 점령” 선언

이·팔 휴전 중에도 영토 야욕 노골화
이 국방, 완충지대 헤르몬산 찾아
“모든 보안구역 위협 없게 할 것”
시리아 알아사드 정권 붕괴 이후
안보 명분 남부에 병력 주둔시켜
이 “하마스, 보안구역에 아이 보내
민간인 이용해 테러 조장” 여론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 중에도 이웃 국가들에 대한 영토 확장 야욕을 숨기지 않고 있다.
이번에는 시리아의 정치적 과도기를 틈타 자국군이 임시 점령 중인 국경지대의 시리아 영토를 무기한 점령하겠다고 선언했다.

1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은 이날 시리아 남부 비무장 완충지대 최고봉인 헤르몬산 정상을 찾아 “이스라엘군은 시리아에 무기한으로 머무를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우리는 헤르몬산의 보안 지역을 유지할 것이며 시리아 남부의 모든 보안 구역이 비무장화되고 무기와 위협이 없도록 확실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스라엘 군용 차량이 11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도시 제닌에서 군사 작전 중 도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비무장 완충지대는 제3차 중동전쟁 여파 속 1974년 이스라엘과 시리아 간 휴전협정으로 설정된 지역이다.
이스라엘은 지난해 12월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이 붕괴하자 시리아 남부와 접한 이스라엘 북부 지역의 안보를 이유로 협정 체결 이후 50년 만에 이 지역에 침입해 현재 9개의 군사 기지를 설치해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침입 당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이스라엘의 안보를 보장하는 다른 합의가 있을 때까지” 이곳에 군을 주둔시키겠다고 밝혔는데 이제는 아예 기한없는 완전한 점령을 선언한 것이다.

이스라엘은 시리아가 자국을 공격하는 거점이 되길 원치 않기 때문에 비무장 완충지대 점령이 필요하다고 항변해왔다.
이란 등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국가들이 시리아를 거점으로 자국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시리아는 아사드 통치 시절 이란이 주도하는 ‘저항의 축’의 일원으로 이스라엘과 대립해온 바 있다.
현재 시리아를 이끌고 있는 아마드 알샤라 과도정부 대통령 역시 한때 국제테러단체 알카에다와 연계된 이슬람 성전주의자로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나 현재 시리아는 아사드 정권과 완전히 단절돼 있는 데다 알샤라 대통령 역시 10년 전인 2016년 알카에다와 결별하고 온건주의 노선을 걸어와 이스라엘의 이런 주장이 명분이 없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알샤라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자국 영토 점령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는 과정에서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기지가 되도록 방치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지속해서 밝히기도 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 EPA연합뉴스
한편, 하마스와 휴전 중에도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향한 공격을 지속해 비판받고 있는 이스라엘군은 하마스가 아이까지 이용해 테러를 조장한다며 여론전을 벌이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12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전날 밤 가자지구 부근 기지로 다가오는 팔레스타인 어린이를 발견했으며 아이가 군인들과 대화에서 “하마스가 나를 이곳에 보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은 국제기구와 협조해 아이를 가자지구로 돌려보냈다면서 “하마스는 민간인과 어린이를 이기적으로 이용하고 착취해 테러를 조장한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군의 민간인 공격이 어린이를 포함한 다수 민간인을 공격하는 비도덕적 행위라는 국제사회의 비판에 역공을 가하기 위해 이번 사건을 공개적으로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

휴전 중에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및 이웃 중동 국가들과 끊임없는 마찰을 빚자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가 11일 밤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선박에 대한 공격 재개를 선언하기도 했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