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국방, 완충지대 헤르몬산 찾아
“모든 보안구역 위협 없게 할 것”
시리아 알아사드 정권 붕괴 이후
안보 명분 남부에 병력 주둔시켜
이 “하마스, 보안구역에 아이 보내
민간인 이용해 테러 조장” 여론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 중에도 이웃 국가들에 대한 영토 확장 야욕을 숨기지 않고 있다.
이번에는 시리아의 정치적 과도기를 틈타 자국군이 임시 점령 중인 국경지대의 시리아 영토를 무기한 점령하겠다고 선언했다.
12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은 이날 시리아 남부 비무장 완충지대 최고봉인 헤르몬산 정상을 찾아 “이스라엘군은 시리아에 무기한으로 머무를 준비가 되어 있다”면서 “우리는 헤르몬산의 보안 지역을 유지할 것이며 시리아 남부의 모든 보안 구역이 비무장화되고 무기와 위협이 없도록 확실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스라엘 군용 차량이 11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도시 제닌에서 군사 작전 중 도로를 따라 이동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
이스라엘은 지난해 12월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이 붕괴하자 시리아 남부와 접한 이스라엘 북부 지역의 안보를 이유로 협정 체결 이후 50년 만에 이 지역에 침입해 현재 9개의 군사 기지를 설치해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침입 당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이스라엘의 안보를 보장하는 다른 합의가 있을 때까지” 이곳에 군을 주둔시키겠다고 밝혔는데 이제는 아예 기한없는 완전한 점령을 선언한 것이다.
이스라엘은 시리아가 자국을 공격하는 거점이 되길 원치 않기 때문에 비무장 완충지대 점령이 필요하다고 항변해왔다.
이란 등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국가들이 시리아를 거점으로 자국을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시리아는 아사드 통치 시절 이란이 주도하는 ‘저항의 축’의 일원으로 이스라엘과 대립해온 바 있다.
현재 시리아를 이끌고 있는 아마드 알샤라 과도정부 대통령 역시 한때 국제테러단체 알카에다와 연계된 이슬람 성전주의자로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인물이었다.
그러나 현재 시리아는 아사드 정권과 완전히 단절돼 있는 데다 알샤라 대통령 역시 10년 전인 2016년 알카에다와 결별하고 온건주의 노선을 걸어와 이스라엘의 이런 주장이 명분이 없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알샤라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자국 영토 점령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는 과정에서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기지가 되도록 방치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지속해서 밝히기도 했다.
![]() |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 EPA연합뉴스 |
이스라엘군은 12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전날 밤 가자지구 부근 기지로 다가오는 팔레스타인 어린이를 발견했으며 아이가 군인들과 대화에서 “하마스가 나를 이곳에 보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은 국제기구와 협조해 아이를 가자지구로 돌려보냈다면서 “하마스는 민간인과 어린이를 이기적으로 이용하고 착취해 테러를 조장한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군의 민간인 공격이 어린이를 포함한 다수 민간인을 공격하는 비도덕적 행위라는 국제사회의 비판에 역공을 가하기 위해 이번 사건을 공개적으로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
휴전 중에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및 이웃 중동 국가들과 끊임없는 마찰을 빚자 예멘의 친이란 반군 후티가 11일 밤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선박에 대한 공격 재개를 선언하기도 했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