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美백악관, 국방부에 '파나마운하 통제' 군사 옵션 마련 지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파나마운하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군사 옵션을 마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3일(현지시간) NBC방송은 백악관이 현재 200명 수준인 파나마 주둔 미군을 늘리라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미국 남부사령부는 비무장 국가인 파나마에서 군대 역할을 하는 공공부대와의 협력 강화를 포함해 파나마운하 무력 점령까지 다양한 방안을 준비 중이다.


미국은 1989년 파나마의 전 독재자 마누엘 노리에가를 마약 밀매 혐의로 체포하기 위해 파나마를 침공한 전례가 있다.
다만 무력 사용 여부는 파나마 공공부대와 협력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미국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미군이 검토한 방안에는 미국 선박의 안전한 통행 보장과 같은 기본적인 단계부터 파나마운하의 환수까지 다양한 목표가 포함됐다.
파나마에 위치한 각 항구에 미군 주둔을 늘리는 것과 운하의 기술적 운영에 미군이 직접 참여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이와 함께 파나마에 미군 훈련소를 세우자는 아이디어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1999년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파나마에 돌려주기 전까지 이 지역에 밀림 전투에 특화된 육군훈련소를 운영했다.


미국이 파나마운하를 무력으로 환수할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 미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백악관이 파나마 주둔 미군을 증강하라고 지시한 것은 전쟁 등 미국에 대한 위협이 발생할 경우 운하에 대한 중국의 접근성을 약화시키는 게 주목적이라는 것이다.


앨빈 홀시 남부사령부 사령관은 최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에게 파나마운하 관련 전략 초안을 보고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다음 달 파나마를 방문할 예정이다.


파나마는 운하 때문에 콜롬비아에서 독립해 건국한 나라다.
1903년 콜롬비아 상원이 미국 정부와 체결한 운하 개발 조약을 부결시키자 당시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군사력을 동원해 파나마의 독립 세력이 건국을 선포하도록 도왔다.
이후 신생 파나마 정부는 운하 운영권을 미국이 갖도록 했다가 1999년 반환받았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막대한 자금뿐 아니라 건설 과정에서 미국인 3만8000명이 희생될 정도로 힘들게 완공시킨 운하를 파나마에 돌려준 것은 바보 같은 짓"이라며 환수 입장을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가 중국 공산당의 영향권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홍콩계 회사에 2개 항구 운영권을 맡긴 점을 문제로 삼았지만 최근 미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홍콩계 회사로부터 항구 운영권 지분 90%를 인수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